첩약 급여화 시범사업이 무엇인가요?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이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다소 생소한 용어입니다.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이 무엇인가요?
그리고 해당 사업의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올려주신 내용은 잘 읽어보았습니다. 첩약 급여 시범 사업이 시행 중인데 이것이 어떤 것인지 궁금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한의사가 처방한 탕약을 먹기 위해서는 보험이 적용이 되지 않으며 비급여로 환자가 돈을 내야하기 때문에 경제적 문턱이 높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첩약 급여 시범 사업은 환자들의 경제적 문턱을 낮춰줌으로써 탕약을 드시는 것에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국가에서 시행 중인 시범 사업입니다. 아직은 시범 사업인만큼 모든 질환에 대하여 가능한 것도 아니고, 무한정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구안와사, 알레르기 비염, 소화불량, 월경통 등을 포함한 6개의 질환에 대해서만 첩약 급여가 적용이 되며, 1년에 2개의 질환, 1개의 질환당 2번만 적용이 가능합니다. 2개의 질환에 모두 다 급여를 적용한다면 1년에 40일을 보험 적용하며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탕약은 한의사가 환자의 체질, 호소하는 증상, 기저질환, 가족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맞춤으로 처방이 이루어집니다. 환자에게 맞는 적절한 한약재를 조합하여 처방하기 때문에 한의사의 지시에 따르고 용법에 준수한다면 별다른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해당 시범 사업으로 환자들은 훨씬 저렴하게 건강에 도움이 되는 탕약을 드실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한의학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국가 차원에서 한약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계기가 되므로 데이터가 잘 관리되고, 시범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된다면 임상 근거를 마련하고, 한의학의 발전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은, 위에서 말한 것처럼 일부 질환에 대해서만 적용이 가능하고, 복용이 가능한 기간도 많지는 않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이번 시범 사업이 잘 진행되어 향후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합니다.
궁금한 내용에 조금이라도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더운 여름이 곧 끝나가는데 건강 관리를 잘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