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자가 금연하면 배가나오나요?
흡연을 하던 사람이 금연을 시작하게되면
식욕이 왕성해지고 이에 따라
음식 섭취가 많아지면서
배가 나오게 되는지요
물론 사람마다 개인적인 차이는 있겠지만
금연과 배가 나오는것이 연관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금연을 시작하시게 되는 경우 흡연에 따른 칼로리소모 효과가 사라지고, 간식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적으로 2~3kg 가량의 체중증가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체중 증가는 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 비만의 위험성을 높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연으로 인하여 얻는 건강이익이 체중 증가에 따른 위험성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다소 체중이 늘더라도 금연을 적극 권장하고 있습니다.
금연 후 초기의 체중 증가는 자연스러운 증상 중 하나입니다. 열량이 높은 간식을 드시기 보다는 물을 한잔 드시거나 열량이 낮은 채소 (오이, 당근 등)를 주전부리로 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금연시 얻게 되는 시간에 따른 건강이득을 다음과 같습니다. 부디 금연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 금연 후 시간경과에 따른 신체의 이득
- 금연 20분 후 : 심박동수와 혈압이 줄어듦
- 금연 12시간 후 : 혈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정상으로 돌아옴
- 금연 2주-3개월 후 : 혈액순환이 개선되고 폐기능이 좋아짐
- 금연 1-9개월 후 : 기침이 줄고 숨이 덜 차게 된다. 기관지에 있는 섬모가 정상적인 역할을 하면서 기관지에 쌓여 있던 가래들이 배출됨. 이로써 폐 감염의 위험이 줄어듦
- 금연 1년 후 : 심장혈관질환의 위험성이 흡연자의 절반으로 줄어듦
- 금연 5년 후 : 구강, 인후, 식도, 방광암의 위험이 절반으로 줄어듦. 자궁경부암의 위험은 비흡연자 수준으로 떨어짐.
뇌졸중의 위험은 금연 후 2~5년 후에 비흡연자 수준으로 감소함
- 금연 10년 후 : 폐암으로 사망할 확률이 흡연하는 사람의 절반 정도로 줄어듦. 인두암과 췌장암 위험도 감소함
- 금연 15년 후 :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비흡연자 수준으로 감소함
2) 금연 시기에 따른 수명 연장 효과
- 30세 금연 시도 : 흡연과 관련된 사망 위험을 거의 피할 수 있음 (10년 연장)
- 40세 금연 시도 : 9년 생존기간 증가
- 50세 금연 시도 : 6년 생존기간 증가
- 60세 금연 시도 : 3년 생존기간 증가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무래도 금연을 하시면 입이 많이 심심해진다고들 하십니다.
심심한 입을 달래기 위해서 주로 단 음식을 찾으시는 경우가 많아요
음식도 상대적으로 많이 섭취하다보니 체중이 늘어나게 되는것이지요
금연을 하면서도 다이어트를 같이 해주신다면 배가 나오는 것을 방지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통 금연을 시도하시게 되면 약 3일째부터 공복감 및 허기가 굉장히 오게됩니다.
이로인해 음식물 섭취가 많아져서 단기간에 살이 찌는경우가 많으니 껌이나 사탕으로 조절하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금연을 하는 경우에 담배 대신에 주전부리를 많이 찾게 됩니다. 결국 드시는 것을 조절하지 못하면 살이 찌고 배가 나올 수 있지요. 그래서 금연을 할 때 살이 찌는 것은 주의해야 합니다. 간혹 금연을 하고 나서 살이 찌는 것 때문에 금연을 못하겠다고 하는 경우가 있으나 건강을 위해선 금연을 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가급적 입이 심심할 때는 은단이나 껌으로 대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