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브린, 콜라겐 스펀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ㅠㅠ
해양 생물을 이용한 생체 적합 드레싱에 대해 조사하고 있는데 피브린, 콜라겐 스펀지 내용이 있어 조사하는 과정에서 관련 자료가 너무 부족해 이해를 잘 못했어요 ㅠ.ㅠ 피브린, 콜라겐에 대한 내용과 피브린, 콜라겐 스펀지의 특성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천으로 된 거즈나 밴드 같은 의료 도구가 체내에 남을 경우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에 몸의 외부에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생체 조직과 비슷하여 몸에 염증이나 이상을 남기지 않고 이후 자연스럽게 분해될 수 있는 소재의 필요성이 생겼고
이 과정에서 피브린 접착제와 콜라겐 스펀지등의 소재가 개발되었습니다.
피브린과 콜라겐 등은 우리 몸에서 출혈이 일어날 때 혈병을 만들어 출혈부위를 막는 물질입니다.
피브린과 콜라겐은 둘 다 단백질로 생체적합성이 높고 생분해성이 좋아 체내에 남아도 염증을 일으키지 않고 이후 자연스럽게 분해될 수 있습니다. 피브린은
지혈용 스펀지에는 피브린, 콜라겐, 젤라틴 등의 혼합물이 포함되어 있고
스펀지 형태의 구조로 피를 빠르게 흡수할 수 있으며 피브린, 콜라겐 등이 피와 섞여 출혈부위에 더 빠르게 혈병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지혈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피브린과 콜라겐 스펀지는 모두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여 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특히 상처 치유, 조직 재생, 그리고 약물 전달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피브린은 혈액 응고 과정에서 형성되는 섬유성 단백질로 혈액 속의 피브리노겐이 트롬빈에 의해 전환되면서 생성됩니다.
그리고 피브린은 인체 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생체 내에서 거부 반응이 적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내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흡수됩니다. 또한 새로운 조직 형성을 위한 세포 부착 및 증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상처 부위에 피브린을 적용하면 지혈 효과와 함께 새로운 조직 형성을 촉진하여 상처 치유를 빠르게 하고 수술 시 출혈이 많은 부위에 피브린을 사용하여 지혈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조직과 조직 사이를 연결하여 조직 재생을 도울 뿐만 아니라 약물을 피브린과 함께 사용하여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고 특정 부위에 약물을 집중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콜라겐은 동물의 뼈, 피부, 힘줄 등에 풍부하게 함유된 단백질입니다. 콜라겐 스펀지는 이러한 콜라겐을 추출하여 다공성 구조의 스펀지 형태로 가공한 것입니다.
콜라겐 스펀지는 피브린과 마찬가지로 생체 내에서 거부 반응이 적고 체내 효소에 의해 천천히 분해되어 흡수됩니다. 그리고 상처에서 나오는 삼출액을 흡수하여 상처 부위를 촉촉하게 유지하며 새로운 조직 형성을 위한 세포외 기질 역할을 합니다.
상처 부위에 콜라겐 스펀지를 적용하면 상처 치유를 촉진하고 흉터 형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조직 손상 부위에 콜라겐 스펀지를 이식하여 조직 재생을 빠르게 합니다. 또한 피브린과 마찬가지로 약물을 콜라겐 스펀지와 함께 사용하여 약물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피브린은 혈액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상처가 생기면 혈액 응고 과정에서 혈소판이 상처 부위에 집결하고 피브린이 혈소판을 함께 고정시켜 손상 부위를 보호하고 치유를 촉진합니다.
피브린은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얻어지며, 재생의료 분야에서 적용되어 생체 적합 드레싱의 구성 요소로 사용됩니다.
콜라겐은 인체 조직의 주요 성분으로, 피부, 연골, 힘줄 등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됩니다.
강도와 탄력성을 제공하며, 상처 치유와 조직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피브린은 혈액 응고 과정에서 형성되는 단백질로, 손상된 조직을 치유하고 지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콜라겐은 결합 조직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피부, 뼈, 연골 등에서 발견됩니다. 피브린 스펀지는 피브린을 이용해 만든 지혈제로, 출혈을 신속하게 멈추고 조직 재생을 촉진합니다. 콜라겐 스펀지는 콜라겐을 기반으로 한 생체 재료로, 상처 치유를 돕고 세포 성장을 지원합니다. 두 스펀지는 모두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며,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부작용이 적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의료용 접착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순간접착제, 피브린 글루, 젤라틴 글루 및 폴리우레탄계 등이 있습니다. 피브린 글루는 혈액의 응고원리를 적용한 것이며, 피브리노겐이 트롬빈에 의해서 피브린으로 변환되는 것을 이용하여 제조한 조직접착제입니다. 콜라겐 스펀지의 콜라겐은 생체적합성이 매우 뛰어나며, 인체의 피부, 뼈, 연골 등의 조직을 연결하는 교원질 형태의 단백질이고, 출혈부위의 혈소판을 빠르게 응고시켜 지혈에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