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11.11

장수유전자 시르트인은 정말 장수에 기여하는 유전자인가요?

말로 듣기로는 장수도 유전이라고 하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암으로 돌아가시면 가족이 다 암으로 죽고 장수하는 집안은 대대로 장수하고

그런 경우를 주위에서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

장수유전자가 있는지 궁금하고 있다면 과학적 근거에 부합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장수유전자 시르트인은 정말 장수에 기여하는 유전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르트인은 세포의 노화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유전자로, 시르트인의 발현이 증가하면 세포의 노화가 늦춰지고, 반대로 시르트인의 발현이 감소하면 세포의 노화가 빨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장수유전자 시르트인은 장수에 기여하는 유전자로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SIRT1은 우리의 유전체 안에 존재하는 하나의 유전자로, 세포의 대사 활성화 및 세포 내부의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과학 연구에서 SIRT1은 생명 연장에 관련된 유전자로 간주되며, 다양한 실험과 연구에서 SIRT1의 활성화가 세포의 건강을 촉진하고 노화 과정을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IRT1은 세포의 대사 조절, DNA 손상 수리, 염증 억제, 미토콘드리아 기능 향상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장수와 관련된 유전자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장수유전자는 실제로 존재하는 유전자는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은 아닙니다.

    하지만 가족들이 장수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유전적인 영향보다는 생활 습관과 환경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가족들이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거나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경우에는 장수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르트인이 장수에 기여하는 유전자인지에 대해서도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은 아닙니다. 시르트인은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하지만 이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가 장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시르트인이 장수에 기여하는 유전자라고 말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주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수를 원하신다면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1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르투인은 수명연장가능성을

    타켓으로 하는 연구가 진전이 되었습니다.

    2006년 싱클레어교수연구팀에 의하면

    레스베라트롤을 고지방 고칼로리음식과같이

    생쥐에게 섭취하게 할 경우

    이러한 악역향이 없어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상적인 음식과 같이

    레스베바토롤을 준 경우에는 생쥐에게

    수명연장의 효과가 없었다는

    후속논문도 있었습니다)

    그 이후에 효모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르투인이 어떻게 수명연장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분자적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