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심비' 소비에 대한 자신만의 기준은 무엇
고물가 시대에 단순히 아끼는 것을 넘어, 나의 만족감과 가치를 높여주는 '가심비' 소비에 대한 자신만의 기준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내가 얼마를 씀으로써
나의 심리적 충족을 얼마나 하는지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소비판단에 앞서서
나의 만족도가 얼마나 올라갈찌 판단하고
저는 가심비 소비를 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심비는 가성비와는 다른 차원이라 개인별 차이가 매우 클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런닝화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는 기존 나이키나 아디다스 외에 신규 브랜드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심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폰에 대한 충성도는 가심비에 기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심비의 기준은 개인이나 특정 집단에 따라 양상이 매우 달라 정량화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심비 소비는 단순한 저렴함이 아닌 내가 좋아하고 만족하는 가치에 돈을 쓰는 것입니다.
나만의 기준은 오래쓸 수 있고 기분이 좋아하는 것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가격보단 경험과 감정의 충만한 소비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가장 중요한 것이 내 마음에 드는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첫번째로 보고 그 다음으로 가격을 볼 것 같습니다.
어쨌든 가격이 맞아야 구매를 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디자인이 충족되어야 저의 마음을 울릴 수 있기 때문이지요.
지극히 저의 기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심비 소비의 기준은 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감이 얼마나 큰지에 있습니다. 단순히 저렴하거나 기능이 뛰어난 것보다, 내 삶에 소소한 행복과 기분 좋은 변화를 줄 수 있는 상품이나 경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별한 감성, 독창성, 브랜드 스토리 등 가격 이상의 심리적 가치를 느낄 수 있을 때 “가심비”가 충분히 높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심비 소비란 가격이 적당하면서도 나에게 그 이상의 기분 좋은 가치를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이는 내가 추구하는 물건의 종류가 될수도 있고 특수성이 될수도 있고 소비 행위로 인해서 내가 느끼는 만족감의 종류에 따를수도 있습니다. 이런 가심비 소비를 잘할수록 적당한 비용으로 큰 만족을 느낄수 있으며, 단순 가성비 소비보다 더 만족감을 느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심비에 대한 저의 기준은 개인적인 선택 보다는 남을 의식하게 되어 남의 시선에서 오는 자존감을 느끼기 위해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sns와 미디어의 영향으로 오롯이 나를 위한 소비 보다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오는 만족감이 더 중요해진 것이죠.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가심비의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말 그대로 가심비의 기준은 개인마다 다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조금에라도 만족하지만
어떤 사람은 조금으로는 만족하지 못하는 등
각자 다른 기준을 갖고 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심비는 자신의 기준에서 결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같은 가격이라도 본인의 가치관에 맞는 소비라면 저렴하다고 느낄수 있으며 필요없는 제품의 경우 비싸다고 느끼는 것이지요.
가심비는 본인을 위한 투자이며 본인이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는지에 대하여 명확한 기준을 갖고 의미있는 소비를 이어가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어떤 물건이든 가격은 비싸지만 본인이 꼭 사고 싶은걸 사면 만족도가 엄청나게 좋긴하죠 그런걸 가심비라고 하지만 사실 개개인마다 기준이 워낙 많이 틀릴테니 그 기준이 무엇인지를 답하긴 상당히 어려울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