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3.10.05

우리나라가 과거에 경제를 고성장시킬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이었나요?

우리나라경제의 고성장의 역사는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고

다른 국가들의 롤모델로 되기도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과거의 경제고성장이 어떤 요소들로 의해

가능했던 것인가요?


당시 우리나라 경제는

어떤 산업군을 공략하여

세계에서 찾기도 드문 고성장을 이룰 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소재남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강의 기적으로 불릴만큼 고성장했던 요소들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공업화 정책 추진, 산업 인력의 해외 진출을 통한 소득 증가, 공업 교육의 활성화 등을 주요요인으로 뽑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기업 주도의 수출 드라이브 정책(정부가 사실상 기업을 지원), 인적자원에 대한 복지, 분배보다는 성장에 치중을 둔 정책으로 인해 과거 경제를 고성장 시킬 수 있었던 것인데, 사실상 이로 인해 성장과 분배의 딜레마 등 해결해야할 문제들도 많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농업 등 1차산업에서

    중화학공업 등 2차 산업을 국가주도하에 자연스럽게

    산업의 구조가 바뀌었고 여기에서 다시 첨단 산업인

    반도체 등 3차산업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가의 정책과 국민들의 근면성실함이 만들어낸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 1962년의 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부터 1982년 5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거치며 고도성장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의 바탕이 된 이유는 첫번째 정부주도의 수출 증대, 두번째 값싼 양질의 노동력, 세번째 해외에서의 투자 정도가 되겠습니다.

    이와 맞물려 3저(저금리, 저달러, 저유가) 호황을 누리며 1차 산업부터 3차산업까지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라나라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빠른 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게 되요

    첫 번째는 대기업 중심의 자본집약적 투자를 통해서 산업을 육성하고 이를 통한 낙수효과로 경제를 일으켰다는 점이에요.

    두 번째는 베트남전쟁으로 인해서 미국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고 베트남 전쟁을 통해서 철강산업을 육성할 수 있었다는 점이에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60년대 중반까지 파국으로 치닫던 한국경제는 1970년대부터 고속성장을 거듭합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해 낸 <한국경제의 성장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 우리나라 경상가격 GDP는 2.8조원에 불과했는데 그렇지만 2011년에는 1237조원을 기록, 무려 446배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1970년부터 40년 간 연평균 실질성장률은 7.2%였는데 특히, 시기별로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각각 9.0%와 9.7%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경제정책 무게중심을 ‘수출’로 옮기면서 사정이 달라졌는데 시멘트·비료·정유·철강 등 다른 산업의 바탕이 되는 공장들이 세워졌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일자리가 늘어났고, 국민들은 굶주림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박정희 정권의 경제 정책이 성장할 수 있는 결정적인 이유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과거에 경제가 고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인적자원 투자가 성공적이었으며, 낮은 원자재 가격 및 중국 시장 확대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개발도상국에 해당했던 과거에는 투자가 활발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주도의 효율적 큰기업 육성과 낮은 인건비가 크게 작용했습니다. 우리 국민의 근면성실도 큰 원동력이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차대전 이후 독립한 국가들 중에 선진국 대열에 진입한 국가는 실상 한국이 유일합니다. 대만, 홍콩, 싱가폴은 여러 특성 상 일반적인 국가 범주에서 벗어나기 때문입니다.

    한강의 기적은 말 그대로 기적에 가까운 사례입니다.


    우선 한국 경제의 급성장은 운이 좋았습니다. 전후 냉전 시대에 미국 등 서방의 지원이 있었습니다.

    또한 개발 독재 정권의 제한된 자원을 일부 기반 산업에 투자를 결정한 것입니다.

    아울러 한국민의 교육열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급성장 요인 중에 하나라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