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학교를 갈떄 자동차로 태워줘야 할까요?
집에서 초등학교까지 거리가 걸어서 15-20분 정도 입니다. 지금 초등학교2학년이라 태워주고 있는데 주변은 걸어가게 하나요 계속 태워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학교갈 때 걸어서 15분 ~20분 정도 소요가 된다 라고 한다면
어른의 걸음 으로도 걷기 힘든 거리이기 때문에 아이가 걸어서 학교를 등.하원 하게 된다면 아이는 쉽게 피로감을 가지게 되고 지치기 때문에 학습을 하는데 큰 지장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그렇기에 등.하원은 자동차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남궁영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걸어서 20분 정도 거리이고, 횡단보도를 건너야 하는 경우라면 초등학교 고학년이어도 학부모님들께서 학교까지 태워다주시는 경우가 많으니 아이와 상의해서 결정하시면 될 거 같네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등교 문제의 경우에는 아이의 안전이 우선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아이가 저학년일 경우에는 가급적으면 차량으로 태워쥐시는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점점 고학년이 된다면 아이들에게 자율적으로 걸어다닐 수 있는 기회를 주시는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차량이 많이 다니지 않는 전제 조건입니다. 요즘 아이들이 등하교 길에서 사고를 많이 당하기 때문에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차로태워주셔도되고
못태워줄것같으면걷게하셔도됩니다
가정에서 편한걸해주시면되겠네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등교길이 큰 도로를 건너야 하거나 횡단보도가 잦고 등교안전지도를 해주는 분들이 없다면 저학년까지는 태워주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고 안전한 도로가 이어진다면 아이와 연습해보고 스스로 등교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걸어서 15-20분이면 아이에게 좋은 운동이 될 수 있습니다. 안전하게 길을 익히면 독립심도 기를 수 있으니, 조금씩 걸어가게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학교에 가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것은 부모로서 매우 중요한 결정입니다. 특히, 아이가 아직 어리거나, 어떤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 더 좋을지 확신이 서지 않을 때 더욱 신경이 쓰일 수 있습니다.초등학교 2학년이라면 아직 어린 나이이긴 하지만, 아이가 스스로 걷는 길을 익히고 자기 주도적인 이동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아이가 초등학교 2학년이라면, 점진적으로 독립적인 이동 습관을 키우는 것도 좋습니다. 처음에는 부모가 함께 걷거나, 어느 정도 도로에서 안전하게 걷는 법을 가르친 뒤, 점차 아이가 혼자 걷는 것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아이와 대화를 통해 어느 방식이 더 편하고 안전하게 느껴지는지 파악한 후,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아이가 학교를 갈 때에 자동차를 태워줘야할지 말아야할지는 바로 이러한 것들을 고려해서 결정하시면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혼자서 걸어가는 것은 안전에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함께 가는 친구를 만들어 주거나, 그렇지 않다면 지금처럼 차로 태워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이의 등교길이 20분정도이면 요즘 날씨도 영하권이니 데려다 주는게 좋을거 같아요.
저학년이라 부모님이 함께 가주시는게 안전상 좋습니다.
시간 여유가 되신다면 아이가 원할때까지 등교 함께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독립성을 키우기 위해서 점차 걸어가게 하는것이 좋습니다. 안전한 길을 확인하고 처음에는 함꼐 걸으며 차차 혼자 가게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