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거울이 없던 옛날에는 거울 대신 어떤 물건을 사용했는지 궁금합니다.
거울이 없던 옛날에는 자신의 얼굴이나 무엇을 반사시켜 보아야 했을 때, 무엇을 통해 보았는지 궁금합니다.
왠지 잔잔한 강가나 연못에서 비추어보았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옛날에는 거울 대신 무엇을 사용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미 잘 알고 계실 듯한 청동거울을 이용했습니다.
청동을 잘 가공하여 반사될 수 있도록 가공하여 이용했습니다.
이후 18세기 초 중국을 통해 유리거울이 수입되었고 19세기에 들어서는 유리거울이 꽤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속을 잘 연마해 자신의 얼굴이 비춰지게 하였다고 합니다
청동을 잘연마한 뒤에 수은을 입혀 반사율을 높인 경우도 있었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이 없던 시기에는 강물이나 호수에 비춰진 모습 말고는 볼 방법이 없습니다. 다만 이 시기에는 본인의 모습을 봐야할 특별한 이유가 없었으므로 필요하지도 않았을 꺼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청동기시대에는 청동합금을 거울형태로 만들어 금속면을 사용하였습니다.
이후 철, 금 등 표면반사특성이좋은 여러 금속과 합금등을 사용하여 거울로 만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자가 말씀하신대로 물이나 호수에 비춰서 봤을수도 있고
일반적으론 아마 금속(구리나 청동)등을 활용하여 그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거울 대신 사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