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누설전류 및 접지 관련 질문 드립니다.
환경 설명
비접지 환경입니다. (접지봉 없음)
분전반: 50A / 30mA 누전차단기 사용 중
부하: cctv용 PC 5대, 모니터 5대, 에어컨 1대 (pc 철체 케이스에서 전기가 오는 상황)
배선: 분전반 1차 차단기 라인에서 점프시켜 2차 차단기를 사용 중 (중성선 공용 구조)
측정 결과
누설전류 측정기를 멀티탭에 장착하면 29~30mA가 표시됩니다.[제품명 BD763]
차단기 2차 측 부하선을 전부 제거하고, 임시 노출형 2구 멀티탭을 달아 측정해도 29~30mA 그대로입니다.
혹시 1차 차단기 공용 중성선 영향일까 해서 우측 차단기(펌프,냉장고 등 노후 장비 연결)를 내려봐도 동일하게 29~30mA 유지됩니다. (좌측 : pc5대 에어컨1대 가동중)
질문
비접지 환경에서도 측정된 29~30mA가 실제 누설전류로 봐야 하나요, 아니면 접지 없음으로 생긴 허상값일 수도 있나요?
접지봉을 설치하면 허상 성분이 빠져서 실제값은 20~25mA 정도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접지 후에도 28~30mA라면, 현재 쓰는 30mA 차단기가 바로 트립할 것 같은데, 이런 경우 100mA 차단기로 교체하는 게 맞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전기를 잘 몰라서 생각나는데로 적는데 양해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정격감도전류30ma를 사용하셔야지 차단기 트립이 된다고해서 원인을 찾지 않고 100ma 교체하시는 방법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100ma라면 화재 방재용이며, 산업용이지 사람이 자주 접근하는 곳은 정격감도전류30ma가 사용하셔야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어떤 장비로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누설전류를 측정하시는것으로 보아 누설전류계를 가지고 있는것으로 판명됩니다. 허나 누설전류계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누설전류에는 저항성,용량성누설전류가 필요하고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주 요인의 전류는 저항성누설전류입니다. 하지만 저렴한 제품들은 용량성과 저항성 모두 측정이되기에 높은값이 발생하는것입니다. 100만원 초과하는 제품들이 저항성만 정밀하게 측정할수있고 이는 절연저항계의 값고 거의 일치합니다. 그러니 질문자님이 사용하시는 누설전류계가 어떤 제품이고 어떤 누설전류를 측정할수있는지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누설전류계를 가지고있다면 접지가 있던 없던 상관없습니다. 다만 절연저항계를 가지고 측정을 하실려면 접지가 있어야하며 접지가 없는곳이랑 접지봉을 주변에 꽂아 측정하셔야 정확한 값을 얻으실수있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비접지 환경에서 29~30mA의 전류가 측정되었다면 실제 누설 전류일 가능성이 높다고 봐요. 이는 안전상의 위험 신호이죠. 접지설비 꼭 설치하셔야해요.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비접지 환경일 때 멀티탭에 누설전류 측정으로 29-30이 측정되는 경우는 실제 누설전류라기 보다는 접지 없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허상 값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 집니다. 접지봉을 설치한다면 허상 성분이 줄어들어 20-25 정도를 낮아질 수 있어 보입니다. 만약에 접지 공사 후에도 29-30정도가 유지되고 차단기가 작동한다면 100차단기로 교체할 수 있겠지만 해당 배선 설비와 조건에 따라 사용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비접지 환경에서 측정된 29~30mA는 실제 누설전류일 가능성도 있습니다만 접지 없는 상태에서 허상값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접지봉을 설치하면 허상 성분이 줄어들어 실제 누설전류에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