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행복하게살아요
행복하게살아요

우리나라 전력 수급 계획으로 친환경 시장을 잃어버릴 것이라는 것에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지난달 15년 치 전력 계획을 세우는 11차 전력수급계획이 발표됐는데요.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가 2년 전 계획과 똑같은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전 세계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주도하는 RE100은 이 결정이 매우 실망스럽다며 한국이 세계시장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요.

우리나라 전력 수급 계획으로 친환경 시장을 잃어버릴 것이라는 견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나라의 전력 수급 계획이라는 것은 매년마다 변동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 정부가 친환경 에너지산업인 태양력등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판단하에 원자력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있지만 다음 정부에서는 이러한 정책이 변경될 가능성도 높아요

  • 경제는 정치에 의해 움직입니다 특히 이번 정권은 뭐든지 전정부탓과 전정부가 한것은 검사의 눈으로 보고 조사만 하고 있으면 정책결정은 무조건 반대로만 하고 있습니다. 경제가 뒷전이고 과학기술투자지원 차감, 의료복지비용 차감등 거꾸러만 가고 있으니 몇년간은 글렀습니다

  • 아무래도 전세계적으로 ESG 정책과 친환경이 대두되면서 각 국가들이 각종 제도를 도입하고 우리나라 정부나 기업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이에 따라서 해당 시장 등에서 상품 등이 배제될 수 있을 여지도 있어보입니다.

  •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전력 수급 계획으로 인해서 친환경 시장을 잃어버린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RE100은 재생 에너지 100퍼센트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데

    한국은 20퍼센트 중반대로 가장 뒤쳐진다고 합니다.

    우리가 무탄소로 주장하지만, 나머지 다른 나라들이 RE100을 주장한다면

    결국 다른 나라의 RE100이 시장의 기준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럽에서 시작된 탄소 국경세 도입으로 인하여 우리나라도 재생 에너지 도입을 했어야 하나 최근 재생 에너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원자력 발전 도입으로 인하여 유럽 에서 주도하고 있는 친환경 에너지 정책에 흐름을 편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따라서 전 세계 글로벌 공급망에서 폐쇄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도입하여 재생 에너지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도 재생 에너지 비중이 낮은 편에 속하며, 글로벌 기업이 많기때문에 친환경 에너지 도입해 박자를 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