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수려한콰가118
수려한콰가11823.03.07

애벌래에서 나비가 되는 과정이 어떻게 되나요?

어떤 생물이든 성장하는 과정은 존재합니다. 그런데 일반 포유류 크기가 커지면서 약간의 형태만 변화될 뿐인데 나비는 애벌리 시절하고는 형태가 완전히 달라지게 되는데 어떻게 이렇게 급격히 변화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애벌래 상태를 지나 크기가 충분히 커지면 고치를만들게 됩니다.

    고치 내부에서 애벌레는 완전히 녹고, 새로 성체가 되기위한 조직들이 재구성됩니다.

    즉, 기존의 조직들이 남아있지는 않고 성체 조직을 재구성하기 때문에 완전히 다르게 우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애벌레가 나비가 되기 위해서는 번데기라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때 많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우선 번데기 안으로 들어간 에벌레는 스스로 소화 효소를 방출합니다 이때 애벌레였던 몸이 녹아 액체가 되고 그 액체가 단배질을 바탕으로 재조립되고 나비가 됩니다 이렇게 극적인 변화가 있음에도 나비는 애벌레때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7

    안녕하세요. 이성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애벌레가 번데기가 되고 다시 나비가 되는 과정을 변태라고 하는데, 변태는 곤충의 내부 호르몬 변화로 시작해서 형태가 바뀌고 완전히 새로운 개체가 되어 태어나는 급격한 변화의 과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애벌래에서 나비가 되는 과정은 "변태" 라고도 불리는 "완전변태"의 일부입니다.

    애벌래의 삶의 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애벌래가 부화하면 작은 애벌래가 나와 나무에 달라붙어서 나뭇잎을 먹으며 자라갑니다. 이 상태를 "애벌래" 또는 "모란애벌래"라고 합니다.

    그리고 어느 날, 애벌래가 성체로 발달하고 나무에서 떨어져 나비의 번데기 상태로 변합니다. 이 과정을 "번데기" 또는 "애벌래 번데기" 라고 합니다. 번데기는 나무 위나 바위에 붙어서 약 2주에서 1년 동안 살며 먹이를 섭취하지 않고 몸을 성장시킵니다.

    이후에 번데기는 몸이 부풀어 오르고 표면이 단단해지며 껍질로 둘러싸인 상태로 변합니다. 이를 "양변태"라고 부릅니다. 양변태를 거치면 몸 안쪽에서 신체의 기능과 형태가 완전히 변하여 나비로서 살아갈 수 있는 모습으로 변하며, 애벌래 번데기에서 나오는 나비는 "도롱뇽나비"라고도 불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비의 변태 과정은 크게 4가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먼저, 알에서 부화하여 나온 나비 애벌레는 성장을 위해 먹이를 먹으며 크기가 커집니다. 이후, 애벌레는 몸이 늘어나고 다리와 날개 등을 형성하는 성장과정인 교체 모세관 형성과정을 거칩니다. 이 때, 애벌레의 피부가 교체되고 새로운 피부가 생기며, 몸이 커지는 동시에 더 복잡한 형태의 다리와 날개가 형성됩니다.

    이후, 성충으로 발달하는 과정에서는, 나비의 몸은 큰 변화를 겪습니다. 애벌레 때에는 잎을 먹고 땅 위를 기어 다녔지만, 성충이 되면 날개와 다리가 발달하여 공중을 날 수 있습니다. 또한, 성충은 성전환을 거쳐 성기능을 갖추며, 이전의 먹이를 먹고 성장하는 대신 번식을 위한 행동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나비의 변태 과정은 호르몬과 유전자 등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애벌레 시절에는 나비 성장 호르몬인 Juvenile Hormone(JH)가 많이 분비되어 몸의 크기와 형태를 조절하고, 성충으로 발달하는 시기에는 JH의 분비가 줄어들고, 대신 다른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날개와 다리 등의 발달을 조절합니다.

    또한, 나비의 유전자 역시 성장과 형태 변화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나비의 날개에는 여러 유전자가 작용하여 날개의 색깔, 크기, 모양 등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나비의 급격한 형태 변화는 여러 인자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