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온 초전도체가 아니고 그에 가까운 상온 완전도체만 되더라도 좋은게 아닌가요?
상온 초전도체는 저항이 0에 수렴한다고 하는건데 0에 매우 가까운 전도체를 완전도체라고 한다고 들었습니다. 상온 1기압에 완전도체만 되어도 좋지 않은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완전도체만 되도 현실적으로 상당히 유리하죠. 하지만 초전도체가 개발된다면 이또한 밀리게 되는거겠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상온 완전도체가 상온 초전도체만큼 우수하다면 매우 좋겠지만, 상온 완전도체는 일반적으로 전기저항이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는 과정에서 일부 전기 에너지가 열로 변환됩니다. 이러한 열 변환은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고, 이는 전자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에, 상온 초전도체는 전기 저항이 거의 없으므로 전류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거의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상온 초전도체는 높은 전류 밀도와 저 전력 소비를 갖고 있어 전자기기, 전력 전송 등의 분야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당연히 말씀 주신것과 같이 상온 완전도체가 되어도 좋습니다. 저항이 최소화되어서 전기효율도 좋고 발열도 적게 나면 당연히 전자기기의 수명도 오래가고 또한 냉각 기능을 추가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크기도 작아지고 비용도 줄게됩니다. 하지만 이런 완전도체도 상온과 1기압에서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요번 대한민국에서 개발한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이슈가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초전도체는 초저온에서 원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여서 저항을 0에 수렴하게 하는 것이기 떄문입니다. 그래서 상온상압의 추전도체가 이슈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