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료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농작물은 어떻게 되었나요?
누군가가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결국 인류는 멸망한다라고 했는데
비료의 등장으로 식량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고 들었어요.
만약 비료가 없었다면 어찌 되었을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화학비료가 개발되지 못했다면 지금과 같이 풍족한 식량의 공급은 어려웠을 것입니다. 질소는 지구에 가장 흔하게 존재하지만 반응성이 낮아서 동식물이 직접 흡수할 수 없습니다. 생물이 단백질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원소인 질소를 식물이 사용가능 하도록 질소화합물로 만들어 주는 것을 질소고정 이라고 하는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양이 크지 않기 때문에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보충해 주고 있습니다. 1909년 공기중의 질소를 고온 고압으로 농축해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식량부족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료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아마 식량의 수급문제로 지금과같이 지구상에인간이 많지 않게 되었을것 같네요
보통 식량이 원활하게 공급되야 인구도 증가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료가 인류의 식량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것은 사실입니다. 저렴하게 보급화가 이루어 졌으니까요. 비료가 없었다면 식품비가 올라갔을것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료는 화학 비료와 천연비료가 있습니다. 화학비료는 길게 봤을땐 좋은 비료는 아닙니다. 싸고 간단하지요. 하지만 부작용도 있습니다. 천연비료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지만 부작용은 적습니다. 그리고 비료를 쓰는 이유는 농작물만 위한게 아닙니다. 바로 땅을 위한것입니다. 땅에 유기물이나 영양분이 좋지않으면 농작물이 잘 자랄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료안에는 식물생장에 반드시 필요한 질소화합물이 들어있어, 식물이 잘 자라게 도움을 줍니다.
이를 이용해 폭발적인 농산물 재배가 가능했고, 경작이 가능한 지역이 늘어났습니다.
비료가 없었다면 질이 떨어지고 비싼 농작물을 먹게되었을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