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4.03

치아치료 금 레진 어떤거로 해야할까요?

치아치료를 해야되는데 10년전에 치료한 충치가 금은 떼지고 하얀거는 깨졌더라구요. 요번에가면 크라운으로 해야될것 같은데 어떤거로 하는게 가격면이나 오래쓸수 있을까요? 어떤게 더 좋은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강아지135
    검붉은강아지13521.04.05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금이나 레진 그리고 지르코니아는 물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저작력이 강한 어금니 부위에는 금을 통해 하는 것이 좋고 심미적으로 보이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저작력이 약하더라도 심미적인 요인이 중요하기 때문에 세라믹으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현재 치아의 위치와 구강 상태에 따라 약간씩 다를 수 있으나 보이지 않는 부분이라면 금이나 지르코니아를 하시는 것이 좋고 잘 보이는 부분이라면 심미성을 고려하여 세라믹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가격은 치과마다 다르지만 보통 금이 가장 비싸고 그다음에 지르코니아, 세라믹 그리고 레진 순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금과 레진으로 한게 떨어져서 크라운을해야하는 상황이시군요.

    크라운은 레진으로 할 수는 없고 금, 지르코니아, 세라믹, pfm 이 있습니다.

    가장저렴한게 pfm이고 이것도 오래쓸 수 있지만 철 위에 도자기를올려놓은거라 시간이지나면서 도자기가 깨져나갈 수 있습니다.

    치아색나는 걸로 예쁘게하고싶다면 지르코니아나 세라믹으로 하시고

    안이쁘더라도 오래 잘 쓰고싶다 하시면 금으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적절한 치료는 치아 손상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오래 전에 금으로 수복한 적이 있다면, 이미 치아 손상이 어느 정도 크기가 클 것으로 생각되며, 크라운 치료가 적절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크라운은 재료에 따라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금- 현재 존재하는 치과 재료 중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재료입니다.- 금은 무른 금속으로, 씹는 작용에 의해 어느정도의 변형을 허용하여 치아 적합도가 가장 좋으며, 상대적으로 치아의 삭제량이 적습니다.- 원소주기율표에서 반응성이 낮은 원소로, 구강 내의 환경에서 각종 이온들과 반응하여 부식되는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습니다.- 금을 원료로 사용하므로 비쌉니다.- 심미적일 수도 있고, 비심미적일 수도 있습니다. 예전 어르신들은 금니가 있으면 부유하다 하여 일부러 금니를 보이는 것을 심미적으로 생각했으며, 최근에는 치아색이 아닌 금니가 보이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는 주관적인 내용으로, 개인에 따라 심미적으로 느낄 수도 있고 비심미적으로 느낄 수도 있습니다.

    2. 지르코니아- 생체친화적인 재료로 구강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강도가 뛰어나여 마모에 강합니다. 또한 치아색을 띄어 심미적입니다.기본적으로 도자기 성분이므로, 강도가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두께가 필요합니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치아의 삭제량이 많을 수 있습니다.- 씹는 힘에 대하여 강하지만, 측방력에는 다소 약하여 깨질 수 있습니다.- 강도가 뛰어나 강한 장점이 있는 반면, 치아보다도 강도가 커서 맞물리는 치아의 마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격은 금과 비슷합니다.

    그 외의 재료로 메탈(은니), PFM (메탈 위에 포세린 파우더로 치아 색을 입힌 것), PFG(금 위에 포세린 파우더로 치아색을 입힌 것), PFZ(지르코니아 위에 포세린 파우더로 치아색을 입힌 것) 등의 재료들이 다양합니다.

    가격 면에서 가장 싼 것은 일반 메탈이지만, 의원에서 해당 치아를 하지 않는 곳이 많기 때문에 사전에 문의해야 하며, 그 다음으로 싼 재료는 PFM으로 메탈에서의 장점과 치아색을 입혀 심미적이지만, 강도가 약하여 잘 깨지고 오래 사용할 경우 잇몸이 내려가면서 안쪽이 금속이 비쳐보여 경계부가 검은 선으로 보이는 단점 등이 있습니다.

    어떠한 치료를 하든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선택보다는 철저한 관리가 더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기존에 했던 충치치료 재료가 떨어졌다면, 다시 금이나 레진으로 때우는정도로 할 수 도 있고,

    범위가 크거나 충치가 깊은경우 크라운을 해야할 수 도 있습니다. 신경치료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크라운은 골드, 지르코니아, 도재가 있습니다.

    신경치료를 안한 치아는 골드가 가장 좋지만, 비싸고 비심미적입니다.

    지르코니아는 심미적이지만, 치아를 많이 삭제해야 깨지지 않습니다.

    도재는 잘 깨지고, 지르코니아보다 비심미적입니다.

    정확한것은 치아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치과에서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