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데브시르메 제도가 무엇인가요?

고대 중동과 유럽, 아프리카까지 지배했던 오스만 제국의 제도인 데브시르메란 것이 어떤것인가요? 종교와도 관련이 있나요? 제도의 시행 목적과 그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서 함께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데브시르메 제도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오스만 제국에서 황권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한 인재 등용 제도입니다. 점령지의 기독교도 가정에서 남자 아이를 징집하는 제도로, 그리스어로는 아이 모으기라는 뜻의 페도마조마라고 부릅니다.

    기본적으로는 이미 정치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는 고위 관료나 군사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고위 장교의 아들이 아버지의 자리를 계승하지 못 하게 함으로써 황제 이외에 정치 세력화 할 수 있는 집단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16세기를 거치면서 데브시르메 출신자의 힘이 지나치게 커지기 시작했고 결국 무슬림도 징집 대상에 포함하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이는 데브시르메로 원래 징집되어야 했던 기독교도 소년들이 징집되지 못하는 것으로 이어졌는데 가령 예니체리의 경우를 보면 1687년 당시 6만 명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징집되어 온 인원은 백 명이 조금 넘는 수준이었습니다. 결국 이렇듯 유명무실해진 제도는 아흐메트 3세 재위 초기인 18세기 초에 폐지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데브시르메는 '아동할당세' 혹은 '혈통세' 등으로 번역되기도 하는데, 그리스어로는 '페도마조마' (아이 모으기)라고 불렀다고 하는데 오스만 제국에서는 8 ~ 10세에 해당하는 남자아이들을 국가에서 강제로 징집하였는데, 이러한 징집제도의 부작용으로는 상당한 반발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반란이 일어나는 일도 있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스만 제국에서 황권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한 인제 등용 제도로 점령지의 기독교도 가정에서 남자아이를 징집하는 제도 입니다.

    이미 정치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는 고위 관료나 군사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고위 장교의 아들이 아버지의 자리를 계승하지 못하게함으로써 황제 이외에 정치 세력화 할 수 있는 집단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습니다.

    본래 황제가 독자적으로 운영할수있는 군대인 예니체리를 모집하는 제도에서 출발한 것으로 예니체리 자체는 2대 황제인 오르한이나 3대인 무라드 1세 때 창설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처음에는 전쟁 포로 중 뽑았는데 무라드 1세 때 이르러 기독교도 소년 중 뽑아 훈련하는 것으로 정했는데 이후 기독교도 소년들 가운데 징집해 황제의 친위군을 육성한다는 방법이 상당히 효과가 있다고 판단한 무라드 2세는 이 제도로 관료들도 뽑도록 확장했으나 무라드 본인부터 튀르크계인 재창 찬다를르 할릴 파샤를 총애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대에 데브시르메 출신자가 정권을 장악한 것은 아니었고 정치적인 변동은 무라드 2세의 아들로 할릴 파샤를 처혐함으로써 투르크계 세력을 크게 약화시키고 데브시르메로 뽑힌 자아노스 파샤를 후임 재상으로 임명한 메흐메트 2세 때 이루어졌습니다.

    데브시르메는 다른 무엇보다 현직 관료나 장교의 아들이 아버지의 대를 잇지 못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나 16세기를 거치면서 데브시르메 출신자의 힘이 지나치게 커지기 시작했고 결국 무슬림도 징집 대상에 포함하는 사태가 일어났는데 이는 데브시르메로 원래 징집되어야 했던 기독교도 소년들이 징집되지 못하는 것으로 이어졌는데 가령 예니체리의 경우를 보면 1687년 당시 6만명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징집되어 온 인원은 백 명이 조금 넘는 수준이어서 유명무실해진 제도는 아흐메트 3세 재위 초기인 18세기 초에 폐지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데브쉬르메는 주로 발칸 반도의 기독교 소년들을 징집하여 엄격한 훈련과 투르크화 교육을 통해 이슬람에 개종시키고,

    술탄의 전위 부대인 예니체리에 배속시키는 제도였습니다. 이슬람국가의 군사력이 강화되는 원동력이었고 국가의 군대로서

    처음에는 귀족의 지원으로 만들어 졌지만 결국 귀족들을 통제하는 수단을 작용 되었습니다. 왕권이 강화되었지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아요, 공감 눌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