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 지역의 해수 염도가 각각 차이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바다의 염도가 지역별로 차이가 많다고 하는데...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가 뭘까요?
심지어 포화상태가 된 곳도 있다고 하는데...
그곳에서는 특별이 염화나트륨 광물이 바다 밑에 많이 깔려 있어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각 지역마다 기후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후 특성에 따라 바닷물의 증발, 비의 양 등이 달리지기 때문입니다.
보통 더운 지방의 염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바다가 구성되는 강물이 흐르는 주변 미네랄 등의 성분의 차이로 인해 차이가 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염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강 유입: 주변에 큰 강이 있거나 강물이 바다로 유입되는 지역은 강물에 함유된 미네랄과 염분이 바다로 유입되어 염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증발과 강수량: 염도는 주로 바다에서의 증발과 강물의 유입에 의해 결정됩니다. 증발이 많은 지역이나 강수량이 적은 지역은 염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지형 및 해류: 지형적인 요소와 해류는 바다의 염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바다의 지형이 복잡하거나 해류가 활발한 지역은 염도의 변동이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포화 상태의 바다는 염도가 매우 높은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부 지역에서 해양 플랑크톤의 성장과 죽음에 따라 많은 양의 염분이 축적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염화나트륨 광물은 일반적으로 바다의 염분의 일부를 구성하지만, 염도가 높은 지역의 염분은 광물 축적보다는 자연적인 과정에 의해 형성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적으로는 비슷하나 전 세계 어느 바다에서나 같은것은 아닙니다. 바닷물의 농도가 짙은 바다인 사해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습니다.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합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올라가는 것이죠. 때문에 어느 바다에서나 염분 농도가 같지 않은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계 각지의 바다에서 영분의 함량이 다른 이유는 우선 주변에 염분이 많아서 물이 바다로 흘러 오면서 많은 염분을 함유해서 오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 각 지역 바다 마다 증발되는 물의 양이 다릅니다. 내려오는 양보다 증발양이 많으면 염도가 높아 집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강들은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기후 조건에 따라 다양한 규모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함께 염분을 해양으로 운반합니다. 염분은 강의 유입량과 강물이 흐르는 지역의 지질 특성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따라서 강의 유입이 많은 지역은 해수 염도가 낮고, 강의 유입이 적은 지역은 해수 염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증발은 해수에서 물을 증발시키는 과정이며, 강수량은 지역에 내린 강수의 양을 나타냅니다. 증발이 강수량보다 많은 지역에서는 물이 증발하면서 염분이 농축되므로 염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증발과 강수량의 균형이 해수 염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해류는 바다에서 발생하는 수직 및 수평적 움직임으로, 염도를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해류는 염분을 다른 지역으로 운반하고 혼합시킴으로써 지역 간의 해수 염도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염도가 높은 지역은 특별히 염화나트륨 광물이 바다 밑에 많이 깔려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염도가 높은 지역은 대체로 증발량이 많고 강우량이 적은 지역입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바닷물이 증발하면서 염분이 농축되어 염도가 높아집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각 지역별 바다의 염도는 주변지형과 바다의 깊이차이에 영향을 받습니딘. 동해의 경우 태평양 바다와 접한부분이 높고
서해의 경우 대륙과 접한부분이 많아서 강물유입이 많아 염도가 상대적으로 낮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