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Panda
Panda

이번 매미들이 엄청난 개체수가 올라온다는데 천적은 없는건가요?

이번에 매미 2개체가 동시에 겹쳐서 13년, 17년만에 땅 속에서 나오고 있는데요.

이렇게 많은 개체들이 한 번에 나온다면 소음에 시민들이 불편함을 겪을 것 같은데 이 많은 매미들의 천적은 없는걸까요? 천적들이 있다면 개체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매미 개체수가 엄청나게 증가하는 이번 주기에는 천적들이 있지만, 그 역할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매미의 주된 천적은 조류, 파충류, 곤충 등이지만, 이들의 개체수가 매미에 비해 압도적으로 작기 때문입니다. 또한 매미는 지하에 긴 시간 동안 숨어 있다가 한꺼번에 출현하기 때문에, 천적들이 이 모든 매미를 잡아먹기에는 역부족입니다.

    따라서 이번 대량 발생 시기에는 천적의 역할이 크지 않으며, 매미 개체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매미 자체가 갑자기 대량 출현함에 따라 소음 문제와 같은 생활상의 불편함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우선 매미는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명체입니다. 매미가 땅 밖으로 나올 때 생긴 구멍은 토양에 공기와 물이 잘 순환하게 만들어서 식물 뿌리의 생장과 양분 흡수를 도와줍니다. 또한 죽은 매미의 사체와 허물은 다시 토양으로 재 흡수돼 유기물 역할을 하고 개미나 말벌, 조류 등 다양한 포식자들의 배를 불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매미에게는 많은 천적이 존재하는데요, 대표적인 예시는 새, 다람쥐, 거미, 사마귀, 말벌 등이 있으며, 이러한 천적과의 마주칠 기회를 줄이기 위해서 생애주기를 5, 7, 13, 17년 등의 소수의 주기로 정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뉴스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금년 매미의 두 종이 태어나는 년수가 겹쳐서 미국에서 많은 문제가 야기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해당에피소드는 우리나라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입니다만, 어쨌든 많은 수의 매미가 탄생함으로써 소음등의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본적으로 매미들은 공격성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양서류와 파충류, 조류 그리고 포유류의 흔한 먹잇감이 될텐데요, 그리고 사마귀와 같은 육식곤충이 그의 천적이 될 것입니다. 또한 거미역시 마찬가지구요,

    일본같은 경우에서는 박쥐도 있을 수 있구요, 흔히 보이는 개미 역시 매미유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어찌되었든 천적이구요, 일부 말벌 등의 벌도 매미 또는 유충을 먹이로 삼습니다.

    미국이나 호주 같이 넓은 지역에서는 청설모나 다람쥐 같은 작은 포유류들의 활동이 왕성해질 것으로 보이고 , 우리나라에서보이지 않는 도마뱀도 천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최대 천적인 포유류의 정점 인간이 있습니다.

    매미같은 곤충은 고단백 식품으로서 인기가 있는데 주로 중국에서 먹거리로 알려져 있는데 태국같은 동남아에서는 튀겨서 많이 먹는다고 합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에서 매미의 허물은 감기, 기침, 발진, 그외 독특한 효능을 가진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기본적으로 매미허물, 선각이라고 불리는 선홍빛의 껍질에 해열 및 진정효과가 있어 의약쪽에서도 이용하고 있습니다.

    여튼 우리나라에는 해당이 없습니다만, 금년 매미의 피해가 없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매미가 대량으로 동시에 나오는 현상은 주로 주기성 발생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매미의 주요 천적은 새, 개구리, 도마뱀, 곤충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 천적들은 매미의 개체 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천적의 존재는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매미의 천적이 없다면 매미의 개체 수가 급증할 수 있고, 이는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미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식물이 파괴되거나 다른 생물들의 서식지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말씀하신 매미들 역시 자연의 일부이며, 그들을 잡아먹는 천적들도 많이 존재합니다.

    참새니 까치, 까마귀 등 다양한 조류들이 매미를 먹습니다. 특히 참새는 매미의 천적 중 가장 대표적인 존재이며, 매미 울음소리를 따라 잡아먹기도 합니다. 또한 다람쥐, 청설모 등의 설치류들도 매미를 먹습니다. 설치류들은 나무를 타고 올라가거나, 땅바닥에서 매미를 찾아 잡아먹습니다. 특히 사마귀나 거미, 지네, 말벌 등 다양한 곤충들이 매미를 먹습니다. 무엇보다 사마귀는 날개가 없는 매미에게 효과적인 천적이며, 거미는 날아다니는 매미에게는 상당한 위협이 됩니다.

    그 외에도 개구리, 두꺼비, 심지어 물고기까지도 기회가 된다면 매미를 먹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천적들이 매미를 잡아먹기 때문에, 매미 개체수가 급증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하지만 천적들도 먹을 수 있는 만큼만 먹을 뿐이기 때문에, 매미 개체수가 너무 많아지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