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노을이 주홍빛을 만들어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해가 지는 시간이 되어갈수록 밝은 하늘색이었던 하늘이 점차 노랗게 되어가고 산에 걸치기 시작할 때쯤엔 붉은 빛을 띄기 시작하는데요.

그렇게노을이 지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하늘을 붉은 색으로 만드는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햇빛은 다양한 파장의 빛이 혼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햇빛이 대기층을 통과할 때는 공기 중에 있는 수많은 입자들로 인해 산란이 일어나게 됩니다.

    저녁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고 태양의 고도도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져 통과하는 대기층이 길어짐에 따라 파장이 짧고 산란하는 각도가 작은 파란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파장이 길고 산란하는 각도가 큰 붉은 빛만이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지는 시간에는 태양빛이 대기를 더 많이 통과해야 합니다. 태양빛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은 대기 중의 분자에 의해 산란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해가 뜨거나 지는 시간에는 파장이 긴 적외선과 가시광선 중에서도 파장이 긴 빨간색이 더 많이 남아 하늘을 붉게 보이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