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수는 어떻게 하늘에 보이게 되는 것인가요?
강원도나 북유럽의 은하수 사진을 보면 정말 장관입니다. 은하의 모습이 하늘에 강처럼 보이기에 은하수라는 이름이 붙은 걸로 아는데, 매번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은하수는 어떻게 하늘에 보이게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은하수가 하늘에서 보이는 이유는 우리은하 내부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이며 은하수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향해 바라본 수많은 ㅕㅂㄹ과 성운, 가스, 먼지 구름의 집합체로서 지구에서 관측할때 거대한 별들의 모임이 하늘을 가로지르는 흐릿한 띠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우리 은하는 나선형 은하로서 중심엔 별들이 밀집된 팽대부와 그 주위를 둘러썬 나선팔이 있게 도지요~ 우리는 태양계를 포함한 지구가 이 나선팔 중 하나인 오리온 나선팔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심으로부터 약 26,000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따고 합니다. 은하수의 모습은 우리가 은하의 나선팔을 측면에서 보거나 은하 중심 방향으로 볼때 나타나게 되는데 수천억개의 별이 모여 있는 은하 중심부 쪽을 바라보게 된다면 하늘에 구름처럼 밝게 보이는 띄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은하수라고 하지요~ 우리가은하의 내부에 있어 은하 전체의 입체적인 모습을 한눈에 보게 되며 은하의 평면을 가로지르는 밀집된 별들의 띠를 관찰하기에 우리는 은하수가 강처럼 넓게 펼쳐진것처럼 느끼게 되는 것입ㄴ디ㅏ~ 은하수는 우리가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잘 보이게 되며 또한 주변의 날씨나 계절 그리고 광공해에 따라 다르게 느껴집니다. 도신 광공해가 있기에 은하수가 잘 보이지 않으며 맑지 않고 습도가 높거나 구름이 많거나 대기가 오염되면 이러한 것들을 더 쉽게 보지 못하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계절에 따라 보이는 것 자체가 아예 다른데 우리가 은하의 중심부를 바라볼수 있는것은 여름철 밤입니다. 이는 우리 지구가 공전을 하기 때문이며 우리가 보이는 모습 자체가 여름철에 위치하였을때 (북반구를 기준으로 본다면) 은하의 중심방향으로 향해 있게 되면서 우리가 보이는 모습 자체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지요~ 다라서 ㅗ통 5~9월 사이에 우리는 은하의 중심부인 궁수자리 방향을 바라보게 된다면 은하수를 볼수 있께 됩니다! 눈으로는 또 명확하게 은하수를 볼수가 없기에 사진을 장노출 하게 되면서 디테일한 모습을 보게 되며 이는 희미한 별빛까지 포착하게 되면서 아름다운 장관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