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똑똑그대로멈춰라
똑똑그대로멈춰라23.06.12

고려시대의 불교는 국가의 기반을 확고히 다지는 역할을 해왔었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사회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되었는지요?

고려시대의 불교는 국가의 기반을 확고히 다지는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었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사회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되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 국교로 인정되었던, 불교의 경우 종교가 타락하게 되고, 정치에까지 참여하게 되어 고려의 왕실을 위태롭게 하였었으므로, 성리학을 기반으로 건국된 조선시대에는 불교는 국가의 해가 된다고 하여 생활 속에서 점점 멀어지게 하였고, 정책적으로도 지원을 줄였습니다. 그리하여 불교의 사원, 절은 도심이 아닌 산중으로 점점 밀려나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여 불교가 일반인들에게 모두 배척된 것은 아닙니다. 아시다시피 왕족 중에서도 태종 이방원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경우 불교에 귀의하여 승려가 되었던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불교도 그 이후 자정하고 국가에도 기여를 하게 되었고, 특히 임진왜란 등의 국가 비상사태에 승병으로 참전하는 등 활동을 하였으나, 성리학 중심의 국가로 사상이자 종교처럼 여겨졌던 유교가 있었기에 중심으로 나올 수는 없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