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감염시 감염률이 떨어지는가요
반년전에 코로나19 확진된 적이 있는데요.
최근에 같이 걸렸었던 사무실 동료들이 재감염이 되고 있어요.
저는 다행히 안걸렸는데..6개월만에 재감염이 될수가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코로나바이러스 감염후 완치가 된 경우에도 90일이 지난 이후 다시 PCR 검사를 받았을 때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와
45~89일 사이의 경우도 증상이 있는 경우는 재감염으로 분류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코로나는 여러가지 변종이 있습니다.
백신 접종이 3차 4차까지 늘어난 이유는 변종에 대한 면역력을 얻기 위함이고 코로나 확진된지가 오래됐다면 새로운 변종에 재감염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또는 백신 접종 후 형성되는 항체의 효과는 6개월 정도 지속됩니다. 따라서 항체의 효과가 감소하고 나서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경우 충분히 재감염이 될수 있습니다. 또한 변이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재감염이 될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하실 필요는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이 되고 나서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기 때문에 한동안 바이러스에 재차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집니다. 그렇지만 시간이 경과하며 항체의 역가가 감소하게 되면 추후에 재감염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보통은 6개월 정도 항체가 지속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이론적으로는 완치 이후 1-2주 이내에도 재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 감염 후 완치가 되면. 우리 몸에 자연항체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항체도 3~6개월뒤에 소실됩니다. 이후에는 감염에 노출될 경우 재감염 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다른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진된 후에는 백신 접종처럼 항체가 형성됩니다. 백신 접종 후에 항체가는 대략 3개월에 최고치를 찍고 6개월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확진자도 이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수개월 동안은 같은 변이에는 재감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변이의 경우 생성된 항체를 회피하여 언제든지 재감염 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