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바이오로지컬
바이오로지컬

26년 한국의 예산은 어느정도 될까요?

26년에 한국의 예산은 어느정도 될까요?? 그리고 지금 한국의 부채는 어느정도이며 해외와 비교 하였을때 어느정도 부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26년 우리나라 예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오늘 (11월 4일) 대통령이 국회를 방문해서

    예산안을 설명하게 되는데

    대략 720조원 정도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26년 예산은 약 740조원 내외로 전망됩니다. 국가채무는 GDP 대비 약 54%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OECD 평균보다는 낮지만 증가 속도는 빠른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6년 한국의 예산은 약 700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측합니다.

    25년 기준으로 677조 4천억원이 었으며 부채는 1280조원 가량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GDP 50%를 넘어서지만 OECD 평균인 110%임을 감안하면 아주 높은 수준은 아닙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1. 2026년 한국의 예산 규모 (정부 예산안)

    정부는 2026년도 총지출 규모를 2025년 대비 8.1% 증가한 약 728조 원으로 편성하여 확장 재정 기조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예산은 주로 초혁신 경제 실현 (AI·R&D 투자 확대 등), 튼튼한 포용 사회 구현 (사회복지, 민생 지원 등), 그리고 국민의 안정과 국익 중심의 외교 안보에 중점적으로 투자될 예정입니다.

    2. 한국의 국가 부채 현황 및 해외 비교

    국가 간 재정 건전성 비교에 사용되는 GDP 대비 일반 정부 부채 비율을 기준으로 볼 때, 한국의 부채 수준은 다음과 같습니다.한국의 일반 정부 부채 비율 (2024년 추정)은 약 53%로, 2023년 50%를 넘어선 후 증가세에 있습니다.한국의 53%는 OECD 평균인 74%를 밑도는 수준입니다.주요 선진국과의 비교를 하면 일본의 237%, 미국의 121%, 프랑스의 113% 등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중하위권에 해당합니다.

    향후 전망 및 우려: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의 부채 비율이 2029년경 약 58.4%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절대적인 수준은 낮으나 증가 속도가 빠르고 비기축통화국으로서 재정 관리에 더욱 보수적이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26년 한국 정부의 총지출 규모는 국회 제출 기준 728조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약 8% 증가한 규모로, 사상 최초로 700조원을 넘어선 슈퍼 예산입니다. 예산은 주로 인공지능(AI) 등 첨단 산업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민생 안정 및 복지 강화에 중점적으로 편성되었으나 국가 채무 증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6년에 한국 예산은 올해 대비 8.1% 증가한 약 728조 원 규모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국가채무는 약 1,175조 원이며 GDP 대비 비율은 약 46.1% 수준이고, 국제 비교 기준인 일반정부 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약 53%로 추정됩니다.

    이는 OECD 평균(약 74%)보다 낮은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입니다. 또한, 일본(237%)이나 미국(121%) 등 주요 선진국 대비 낮은 부채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재명 정부의 2026년 예산안은 728조원인데, 국회에서 어떻게 통과될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 국가총부채는 2024년 말 기준 GDP 대비 269.8%로 주요 44개국 중 11위이며, 정부의 부채 수준은 1300조원을 넘어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