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22.08.18

전기자동차 화재 발생 시 소화가 잘 안되는 원리(배터리 특징 등)

교통사고 발생 시 전기자동차가 순식간에 전소되는 것을 보았는데요, 일반 자동차보다 불이 더 잘나고, 불이 났을 때 잘 안꺼지는 이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튬이온배터리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양극, 음극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근데 사고가 나서 이 분리막이 손상을 입거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결함으로 통제가 안 되면 온도가 올라갑니다.

    이것을 열 폭주라고 합니다.
    배터리는 1000도가 훌쩍 넘어가는 어마어마한 열을 장시간 방출할 수 있어서, 이 점이 일반 화재와 가장 다른 포인트입니다.

    감사합니다.


  • 전기자동차가 화재 발생시 더 잘타는 이유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특성입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불이 붙기 시작하면 단시간에 완전히 연소해버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