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무역 협정이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뉴스 같은 걸 보면 가끔 국제 무협 혁정이라는 말이 나오는 데 이게 뭔가요? 상호 헙력관계를 맺고 무역로를 뚫는 거랑 비슷한가요? 국제 무협 협정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무역 협정은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상품 및 서비스의 교역에 대한 관세 및 무역장벽을 철폐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국가처럼 자유롭게 상품과 서비스를 교역하게 하는 국가간 협정을 말합니다. 즉, 말씀하신 것처럼 상호 관계를 맺어 보다 자유무역을 추구하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
무역 협정의 종류로는 크게 5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첫째로는 자유무역협정으로 흔히 말하는 FTA가 해당됩니다. 자유무역협정은 모든 국가가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특정 국가간에 협정을 체결하는 것으로 무역자유화를 위해 관세를 포함하여 각종 무역제한조치 철폐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관세동맹(Customs Union)으로 회원국간 역내무역 자유화 외에도 역외국에 대해 공동관세율을 적용하여 대외적인 관세까지도 역내국들이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입니다. 셋째로는 공동시장(Common Market)으로 관세동맹 수준의 무역정책외에도 회원국간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 가능하게 하는 협정입니다. 넷째로는 경제동맹(Economic Union)으로 회원국간 금융, 재정정책, 사회복지 등 모든 경제정책을 상호 조정하여 공동의 정책 수행하는 것으로 유럽연합(EU)가 이에 해당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완전경제통합(Complete Economic Union)으로 회원국들이 독립된 경제정책을 철회하고, 단일경제체제하에서 모든 경제정책을 통합/운영, 회원국간에 단일 의회 설치와 같은 초국가적 기구 설치하는 것이며 자유무역협정에서 완전경제통합으로 가면서 포괄범위가 보다 넓어지는 형태로 보시면 됩니다.
즉, 무역 협정을 통해 추구하는 이상향은 완전경제통합이나, 이를 모두가 협의할 수 없기에 다른 형태의 협정들이 체결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다음의 다자간 무역협정에 대한 내용을 발췌하여 안내드리오니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다자간 무역협정은 양국간 무역협상이 아닌 수십개 혹은 백여개 국가가 참여하는 국제무역협정이다. 다자간 무역협정은 세계무역에서의 장애가 되는 모든 요인을 없애고 자유로운 무역을 통하여 세계 무역을 확대·발전시킬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체제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우르과이라운드(UR), WTO등 다수의 국제협정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자간 무역협정은 통상과 원료획득에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는 경제질서를 확립하자는 취지에서 1946년 2월 〈UN 경제사회이사회(Econmic and Socail Council of UN: ITO)〉창설에 합의하고 ITO 설립을 위한〈아바나 헌장〉을 채택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는 세계적 경제혼란의 와중에서 강대국들이 과잉생산과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장확장의 노력과 보호무역주의 성향의 마찰로 인해 2차세계대전이 발발 했음을 시인하는 데에서 출발되었다.
그러나 이 국제무역기구의 헌장은 이상에 충실하고 헌장이 엄격하여 그 설립이 유산되고 말았다. 이때이 헌장을 기초로 한 당시 준비위원회의 회원이었던 각국 정부는 헌장의 발효를 기다리지 않고 우선적으로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을 경감하기 위한 협정에 합의하여 1974년 4월부터 제네바에서 23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관세인하 협상이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상호관세를 위하여 약속한 관세율과 관세인하의 효과를유지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무역측면에서의 규정을 하나의 조약으로 정리한 것이 바로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이다. GATT는, 1948년 1월 1일을 기해 세계무역의 기본 규정으로 출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WTO, UR 등의 협정이 이어지고 있어 자유무역 기조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무역 협정을 맺는 이유는 각국의 이해관계 등을 이유로 볼 수 있습니다.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도 관세장볍과 수출입 제한의 제거, 국제무역과 물자교류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GATT가 국제무역의 확대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맹국 간에 체결한 협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회원국 상호간의 다각적 교섭으로 관세율을 인하하고 회원국끼리는 최혜국대우를 베풀어 관세의 차별대우를 제거
② 기존 특혜관세제도(영연방 특혜)는 인정
③ 수출입 제한은 원칙적으로 폐지
④ 수출입 절차와 대금 지불의 차별대우를 하지 않음
⑤ 수출을 늘리기 위한 여하한 보조금의 지급도 이를 금지자유무역협정(FTA)도 협정을 체결한 국가 간에 상품/서비스 교육에 대한 관세 및 무역장벽을 철폐함으로써 배타적인 무역특혜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입니다.
FTA는 체결국간 경제통합의 심화정도에 따라 자유무역협정 - 관세동맹 - 공동시장 - 완전경제통합으로 볼 수 있습니다.
① 자유무역협정 : 회원국간 무역자유화를 위해 관세를 포함하여 각종 무역제한조치 철폐
② 관세동맹 : 회원국간 역내무역 자유화 외에도 역외국에 대해 공동관세율을 적용하여 대외적인 관세까지도 역내국들이 공동보조를 취함
③ 공동시장 : 관세동맹 수준의 무역정책외에도 회원국간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 가능(예 : 구주공동체(EC), 중앙아메리카 공동시장(CACM))
④ 회원국들이 독립된 경제정책을 철회하고, 단일경제체제하에서 모든 경제정책을 통합/운영, 회원국간에 단일 의회 설치와 같은 초국가적 기구 설치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국제무역협정은 여러가지가 해당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으로는 WTO(세계무역기구) 협정에 관한 부분이 될 것입니다.
세계무역기구 WTO는 국가간 경제분쟁에 대한 판결권과 그 판결의 강제집행권이용, 규범에 따라 국가간 분쟁이나 마찰조정등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로, 우리나라는 WTO 가입국입니다. 1986-1994년까지의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결과로 체결된 협정으로 세계무역기구설립을 위한 마라케시협정이라 불리우며 가장 대표적인 WTO협정이 됩니다. 이는 아주 쉽게는 자유로운 무역환경조성을 위해 전세계 많은 국가들의 합의가 이루어진 협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 이외에도 개별 국가들과 FTA(자유무역협정)또한 국제무역협정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FTA는 상품, 서비스, 기술 등에 대한 자유무역을 위한 협정으로 가장 대표적인 상품무역협정은 양국간의 관세를 철폐 또는 인하하여 자유로운 무역을 위해 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무역협정은 두 개 이상의 국가가 체결하는 협정으로, 무역의 장벽을 제거하고, 무역의 자유화를 촉진하기 위해 체결됩니다. 무역협정은 국제 무역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무역협정을 통해 무역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높아지고, 무역의 규모가 확대됩니다. 또한, 무역협정을 통해 무역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무역의 공정성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무역협정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체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품 무역, 서비스 무역, 투자, 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무역협정이 체결될 수 있습니다. 무역협정은 양국 간의 무역을 촉진하고, 양국 간의 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체결됩니다. 이러한 무역협정의 예시로는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및 FTA협정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무역협정은 양국 간의 무역을 촉진하고, 양국 간의 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체결되지만, 무역협정은 양국 간의 이해관계가 충돌할 경우 갈등을 야기할 수 있는 면도 존재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국제무역협정이란 말그대로 국제무역을 수행할때 지켜야되는 협정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cisg, incoterms, ucp600 등의 경우에는 대부분 무역계약에서 특정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fta와 같이 양당사자간의 계약도 국제무역협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특정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관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국제무역협정은 자동적으로, 합의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