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흑자도산은 어떤 경우에 하는 것인가요?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이익이 안나고 적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파산 절차를 밟곤 합니다. 그런데 흑자임에도 파산하는 흑자도산은 어떤 경우에 하는 것인가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전문가입니다.

    흑자도산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어요!!

    일단 매출은 높지만 외상 매출 즉 매출채권이 너무 많을때 발생합니다.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았는데 현금이 아직 안들어온 상태가 많으면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재고가 과도하게 많아도 발생합니다.

    재고는 현금으로 바로 쓸 수 없기 때문에 현금 유동성을 막기도 합니다.

    한가지 더 말씀드리면 우리 회사는 잘 나가지만 거래하고 있는 거래처가 부도가 날 경우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3가지만 말씀드립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흑자도산 은 장부상 흑자가 나도 실제 현금 흐름이 부족해 단기 채무를 갚지 못해 도산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발생주의 회계로 인해 수익은 기록되어 있으나 현금이 제때 들어오지 않아 자금 회전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흑자도산은 회계상으로는 이익을 내고 있지만, 실제 현금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부도가 나는 상황인데요. 주로 매출채권처럼 수익이 발생해도 아직 현금화되지 않은 부분이 많거나, 설비 투자 등으로 현금 유출이 크게 늘어나 단기적인 지출을 감당할 현금이 부족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흑자도산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팔고 대금을 외상으로 받았으나, 이 외상 대금이 회수되기 전에 당장 현금으로 나가야 할 직원 급여나 원자재 대금을 감당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이익이 발생하자마자 재고를 과도하게 쌓아두거나 대규모 설비 투자를 진행하여 현금을 모두 소진했을 경우, 갑작스러운 지급 요청에 대응할 유동성이 부족해집니다. 기업이 단기 차입금을 많이 사용했는데, 이 부채들의 만기가 한꺼번에 집중되어 도래했을 때, 보유 현금만으로는 상환이 불가능해져 도산에 이릅니다. 원자재 구매 시 지급 기한은 짧게 잡고 매출 대금 회수 기한은 길게 잡는 현금 흐름의 미스매치가 발생할 경우 현금 부족이 심화됩니다. 시장 환경 악화 등으로 주거래 은행이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지 않거나 갑자기 자금 회수에 나설 경우, 기업의 유동성 위기가 급격히 발생합니다. 매출이 급증하는 성장기에 오히려 운영 자금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를 외부 자금 조달로 충당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익계산서에도 이익이 나지만 현금 흐름이 좋지않아 파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 현금이 부족해 운영이 불가능한 기업을 말하죠.

    설비 투자가 너무 과다해 이익금이 바닥나거나 재고가 많거나 외상매출금이 과도하는 등 이유로 기업의 운영이 불가능해 지는 경우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흑자도산은 장부상 이익(흑자)이 있떠라도 현금 흐름이 막혀 부도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주된 원인은 매출 대금 회수가 늦어지거나(외상 매출), 재고나 설비 투자 등 현금이 묶여(자산은 증가), 당장 갚아야할 부채(어음, 급여 등)를 결제할 돈이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 즉, 이익은 있지만 유동성이 부족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흑자도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장부상으로는 흑자이지만

    실제로는 현금이 부족해서 당장 닥쳐오는 부채 상환을

    못하는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흑자도산은 회계상 이익은 나지만 현금이 부족해 채무를 갚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즉, 자산은 있으나 유동성이 없어 단기 부채를 상환하지 못해 도산 절차에 들어갑니다,

    기업의 자금 흐름 관리 실패가 주된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흑자도산은 회계상 이익(흑자)이 나지만 현금흐름 부족으로 자금이 돌지 않아 파산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시적으로 자금이 부족하여 단기부채를 막지 못해 발생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물건을 만들어 팔 때, 물건을 만들기 위해서 자금을 1000만원 빌렸는데 다 만들고 물건을 납부하고 물건값으로 1500만원을 받아야 하는데 받지 못해서 회사가 부도나는 경우입니다.

    그리고 과도한 투자를 했지만 아직 이익 적게 발생하여 부도나는 경우, 제품을 펼렸지만 재고가 쌓여 현금화 안돼 부도나는 경우, 단기대출로 운영하다가 만기 도래시 상환 못해 유동성 위기를 겪는 경우등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흑자도산은 손익계산서상으로는 이익을 내고 있지만 실제 현금이 부족해 부채를 갚지 못하고 파산하는 경우입니다.

    주된 원인은 고객에게 외상으로 판매한 매출채권의 회수가 지연되거나, 미래를 위한 과도한 설비 투자로 현금이 빠져나간 경우에요.

    즉, 장부상 이익이 발생했더라도 실제 손에 쥔 돈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현금흐름 관리 실패가 본질입니다.

    기업은 이익뿐만 아니라 실제 현금의 흐름을 나타내는 현금흐름표를 주의 깊게 관리해야 도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