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벽한말똥구리64
완벽한말똥구리64

개나 늑대들은 겉으로 볼 때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데 어떻게 서로를 구별하고 같이 생활하지 않나요? 곤충들 중에도 겉모습은 똑같은데 같이 짝짓기를 하지 않는 걸 보면 구분하는 방법이 있는 건가요

우리가 볼 때 똑같이 생긴 같은 종처럼 생긴 곤충들은 야생에서 서로 같은 지역에서 생활하는데 같이 다니지도 않고 짝짓기를 하지 않는 것을 보면 서로 다름을 인식하고 배척하는 거 같은데요. 이는 늑대와 개, 종류가 다른 새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본능적으로 다른 종과는 어울리지 않는 거 같은데 이를 구별하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냄새로 구별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간은 주로 시각을 이용해 서로를 구분합니다.

    특히 가시광선 영역의 색으로 보이는 모습을 서로를 구분하는데 사용합니다.

    하지만 동물들은 인간과 발달한 감각체계가 다릅니다.

    많은 조류의 경우 사람이 가시광선 영역의 빛만 볼 수 있는 반면에 자외선 영역의 색도 구분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 눈에 똑같아 보이는 새들도 새들끼리 보기에는 개체를 구별할만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개나 늑대의 경우 시력이나 색 구분 능력은 인간보다 떨어집니다.

    하지만 발달한 후각을 이용하면 서로의 냄새 차이를 인식하여 개체를 구분합니다.

    고양이의 경우도 후각으로 서로를 구분하는데,

    집에서 여러마리의 고양이를 기를때 한 고양이를 병원에 데려갔다오면

    병원냄새가 빠지고 원래 냄새가 돌아올때 까지 다른 고양이라 생각해 경계합니다.

    곤충의 경우 각 종마다 특유의 페로몬이 있으며 같은 종의 수컷들은 같은 종의 암컷이 내보내는 페로몬에만 반응합니다.

  • 동물들이 같은 지역에 살면서도 종을 구별하여 짝짓기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것은 여러 가지 신호와 감각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많은 동물들은 시각적으로 다른 종과 구별되는데요 예를 들어, 새들은 깃털의 색상과 패턴을 통해 같은 종의 개체를 인식하고 다른 종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한 구애 행동이나 사회적 행동이 같은 종끼리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예를 들어, 새들은 종마다 다른 구애 춤이나 노래를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동물들은 소리로 다른 종을 구별합니다. 새들의 노래, 개구리의 울음소리, 곤충의 울음소리 등이 대표적이며 각 종은 고유한 소리 패턴을 가지고 있어 이를 통해 같은 종의 개체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많은 동물들은 페로몬과 같은 화학적 신호를 사용하여 같은 종의 개체를 인식하며 개와 늑대는 냄새를 통해 서로를 인식하고 구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곤충들은 종마다 다른 페로몬을 분비하여 짝을 찾고, 서로의 존재를 알립니다. 이러한 화학적 신호는 짝짓기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개, 늑대와 같은 동물들은 매우 발달된 후각을 가지고 있어 체취를 통해 같은 종과 다른 종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새들은 주로 소리를 통해서 종을 구별합니다. 새들의 지저귐이나 개나 늑대의 짖음 소리에는 종에 따른 독특함이 있습니다. 이 소리는 의사소통에도 사용되지만 동족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생식의 과정은 동물들은 생식적으로 호환 가능한 파트러를 찾아 짝짓기를 하게되는데 이는 발정기 같은 특정 시기에 특정 페로몬이나 생식기관을 통해 퍼지는 호르몬 및 냄새를 통해 파트너에게 인지를 시키거나 유혹을 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완벽한말똥구리님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한번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