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100도 이상 안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숙연한아비121입니다
물의 끓는점은 100도잖아요 100도이상되면 수증기가 되는걸로 알고있는데요.그렇다면 물은100도이상 안올라 가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생각보다 물을 정확히 100°C에서 끓이기 어렵습니다. 기압은 1기압 이어야하고 물은 불순물이 없이 순수한 물이어야 100°C에서 끓게됩니다.
기압을 조절하면 온도가 100°C보다 높아도 액체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물에 불순물이 많이 녹아있으면 또한 물의 끓는점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염산이나 황산 등의 산이 일정 비율 이상 섞이면 물의 끓는점은 110도, 120도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끓는점은 액체의 증기압이 외부압력과 달라지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액체가 에너지를 받아 분자운동이 활발해지고 외부압력을 이겨낼 정도가 되면 끓는 것인데요.
고도가 올라갈수록 외부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분자운동이 그만큼 덜 활발해져도 (온도가 낮아도) 외부압력을 이겨내기때문에 끓습니다.
물을 상온의 진공상태에 넣으면 10도에서도 끓는게 가능합니다. (외부압력이 0에 가깝기 때문)
반대로 기압이 높은경우 100도 이상에서도 끓지 않고 온도가 올라갑니다.
물의 끓는점 100도는 대기압 기준입니다.
즉 1기압보다 높은 기압이라면 끓는점이 올라가고
1기압보다 낮은 기압이면 끓는점이 내려갑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말씀하신대로 100도가 되면 수증기가 되어버려 물(액체) 상태로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다만 수증기가 되는것을 압력을 가하여 더 높은 온도에서도 물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압력솥이 그러한 원리로 끓는점을 100도 이상 높여 더 빠르게 음식을 할 수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내부에 불순물이 섞여있거나 압력밥솥같은 고압의 환경에 물이 존재하면 끓는점이 올라갑니다.
순수한물의 1기압에서 끓는점은 100도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도 100도이상 올릴 수 있습니다. 대신 1기압의 조건이 아닌, 고압의 조건에서 물을 100도 이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강도가 강하고 열전도율이 높은 밀폐된 쇠상자가 있는데, 그 안에 물로 가득찾다고 상상해보죠. 그리고 이 쇠상자를 가열하게 되면 물이 끓어야합니다. 하지만 물이 끓는다는 것은 부피가 늘어나고 물분자간 거리가 멀어져 자유로워진 기체상태가 되는 것이죠. 그러나 제한된 공간이기 때문에 더 이상 자유로워질 수는 없어 기체가 못되고 물인 상태로 온도와 압력만 높아지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고압 상태에서는 100도 이상의 물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끓는점이 100도씨 이기 때문에 그때 끓고 100도가 넘어가면 수증기로 변합니다.
참고로 100도씨는 1기압일 때 이야기이고, 높은 산에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져 100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끊게 되고 따라서 라면이나 밥이 설익게됩니다.
좋은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물은 100도씨가 넘어가면 수증기로 기화되기 때문에, 그 이상 끓지는 않는답니다!
물이 100도씨에서 끓는것은 기압이 1기압일때 입니다. 기압이 낮아지면 끓는점이 내려가고 기압을 높이면 끓는점도 올라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