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그릴 때 투시도법 전문가님 도움 필요합니다!
투시공부를 하는데 하이앵글 로우앵글 관련 의문이 생겼습니다
제가 공부한건 3점 투시 일때만 하이앵글 로우앵글이 해당된다 였는데 몇몇 인터넷 설명글에서 1점 2점에서도 사물의 위치에 따라 하이 로우가 될수있다.
즉. 같은 시야각에 눈높이보다 높이 있으면 아래가 보이니까 로우 눈높이보다 아래에 있으면 윗면이 보이니 하이앵글 이란 개념이었는데
저는 좀 생각이 다릅니다.
그러면 한 시야각 화면안에 하이 로우가 공존한다는 개념인건데 애초에 앵글이란건 보이는 사물의 면의 기준이 아닌 주체가 카메라에 있어 카메라 위치 자체가 위에있어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 봐야 하이앵글 카메라 자체가 아래로가 아래서 위로 올려봐야 로우앵글 이란 개념이 더 맞을것 같거든요..
혹 제가 잘못알고 있는거라면 설명 부탁 드립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명확히 이 부분에 대해 정의하는 내용이 없네요
이해가 가도록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이 두 개념은 사실 시점이나 카메라의 위치와 관련된 내용인데, 투시법과의 관계에서 혼란을 겪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하이 앵글과 로우 앵글은 주체(즉, 카메라 또는 관찰자의 시선)와 대상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관점입니다. 투시도법에서 하이 앵글과 로우 앵글은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달라집니다. 말씀하신 대로, 하이 앵글과 로우 앵글은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정의되며, 투시도를 그릴 때 사물의 위치나 시점의 변화에 따라 나타날 수 있습니다.
1점, 2점, 3점 투시도 모두에서 하이 앵글과 로우 앵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투시도는 대체로 시각적 깊이와 공간을 묘사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사물이나 공간의 위치에 따라 하이 앵글이나 로우 앵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야각은 관찰자가 위나 아래에서 사물을 볼 때 나타나는 결과로, 그 시점에서 보이는 사물의 면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 개념은 투시도에서 사용되는 소실점의 개념과도 연관이 있지만, 하이 앵글과 로우 앵글은 눈높이에 따른 관찰자의 위치 변화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이 앵글과 로우 앵글이 동시에 공존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면에서 대상에 따라 다른 시점을 보여주는 경우, 하이 앵글과 로우 앵글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 어떻게.. 이해가 되셨을런지요?.. 사실 저도 어려운 개념이기 때문에 이걸 배우는 학생 입장에서도 당연히 헷갈리고 어려울 수밖에 없는 개념일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