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포트폴리오 비율 이대로 괜찮은가요?

부동산은 빼고 들어오는 현금으로 분배예정입니다.

원화 10%

달러 10%

금 10%

채권 10%

한국주식 10%

미국주식 10%

너무 러프하긴하지만 좀더 추가하거나 조정할게 있을까요? 조언 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더레인
      더레인

      자산을 분배하시려면 기본적으로 해당 자산이 가진 성격을 먼저 아셔야 합니다.

      위에서 말씀해주신 원화/ 달러/ 금/ 채권/ 한국 주식 / 미국 주식

      원화 : 상황에 따라 다른 자산으로 바꾸기 매우 용이한 자산입니다. 달러보다는 위험 자산에 속하는 자산 군입니다.

      상대적으로 한국의 투자가 늘어날 것 같고 한국이 성장할 것 같을 때 갖고 있으면 좋은 자산입니다.
      ( 여기서 좋다는 것에 대한 비교대상은 달러)

      달러 : 원화보다는 활용하는데 있어서 환전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수수료도 지불해야 하기 번거로움이 약간 있는 자

      산입니다. 미국의 경제가 다른 국가들보다 더 성장 할 것 같고, 경제가 위험하다고 느낄 때 좋은 자산군이고 안전

      자산에 속합니다.

      금 : 달러와 동일하게 유동성이 좋지 못 하고 세계 전체가 위험하다라는 공포심리가 강할 때 선호되는 자산군입니다.

      채권 : 채권은 장기 채권과 단기 채권에 따라 성격이 다르나 크게 보면 안전 자산으로써 경제가 위험하다고 느껴질 때 선호되는 자산군입니다. 그리고 채권을 발행한 나라(미국, 중국, 영국 , 독일 ,한국 등등)의 신용도, 신뢰도에 따라서 약간씩 성격이 다르긴 합니다.

      미국 주식/ 국내 주식 : 먼저 미국이 경제가 좋을 것 같을 땐 미국 주식/ 한국 경제가 좋아질 것 같을 땐 한국 주식이 좋은 투자 자산입니다.

      그럼 여기까지 정리하고 질문자분이 말씀해주신 자산 분배를 보자면

      원화 10 / 달러 10 / 금 10 / 채권 10 / 한국 주식 10 / 미국 주식 10은

      위험 자산 20%

      중립 10%

      안전 자산 30%

      로 구성 됐고 투자 국가로는 미국 20% 한국 20% 입니다.

      질문자 분이 현재 상황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비율을 조정이 필요할 것 같긴합니다.

      위험 자산 50%

      중립 30% -> 눈치보다가 안전자산으로 옮기거나 위험자산으로 옮길 돈 ( 원화)

      안전자산 20%

      상황에 따라선 위험 자산 50% 안전 자산 50%로 대응 할 수 있게

      국가의 경우에도

      한국 30% 미국 30% 중국 15~20% 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