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기공안에는 뭐가들어있나요?
식물의 기공은 증산작용도하고 숨도쉬고 하는데 구멍안에 뭐가들어있나요? 그리고 식물이 나 다른생명체가 숨을쉴때 산소가 이산화탄소로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식물의 기공은 주로 잎의 하면에 분포하고 있는데요, 기공이란 잎의 표피세포가 변형된 공변세포 2개로 이루어진 구멍을 말합니다. 기공은 공변세포의 팽압이 증가하면 열리고, 팽압이 감소하면 닫힙니다. 이때 기공이 열리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식물 내로 유입되어, 광합성에 사용됩니다. 광합성이란 태양의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뿌리로부터 흡수한 물을 포도당으로 합성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한 산소가 다시 기공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됩니다.
식물의 기공은 잎과 어린 줄기 표면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두 개의 공변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공변세포는 입술처럼 움직이며 기공을 열고 닫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공 안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이죠.
식물은 기공을 통해 몇 가지 역할을 수행합니다.
뿌리에서 흡수된 물을 수증기가 되어 기공을 통해 방출합니다. 이는 식물체를 식히고 대기 중의 습도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광합성의 결과 생성된 산소를 방출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식물의 기공은 기본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기능을 합니다. 기공 내부에는 물리적으로 기공을 조절하거나 수분을 증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피세포, 기공을 열고 닫는 활구세포 등이 있습니다.
식물이 호흡을 할 때, 식물은 광합성과 호흡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합니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후 광합성 과정에서 탄소를 이용하여 산소를 방출하고, 이산화탄소를 공기로 방출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식물은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식물의 기공 내부에는 주로 공기가 들어 있습니다. 기공을 통해 식물은 증산작용으로 물을 내보내고, 동시에 기체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즉, 식물은 기공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광합성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반대로 호흡 과정에서는 식물과 다른 생명체들이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이렇게 식물과 다른 생명체 간의 기체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생태계의 탄소 순환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기공은 공변세포 두개가 모여서 만들어내는 구멍입니다.
구멍 안쪽에는 식물 잎을 구성하는 여러 조직들이 위치합니다.
진핵생물의 경우 미토콘드리아를 가져 산소성 호흡을 하면 산소를 소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하지만 세균이 속하는 원핵세포의 경우
호기성 세균은 산소를 소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만,
혐기성 세균은 산소를 사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