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안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시야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보이긴하나 안보이는 듯한 코는 왜 그래요?

성별
남성
나이대
50

눈은 결국

두눈의 시야 합으로

우리가 시야를 인식하는데요

실제로 우리가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서

내 시야에

내 코가 있다는 인식을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코가 어딨지 하고

의식하며 보면 코가 분명히 있는 데 말이죠

두눈으로 받은 시각정보를 통합해서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아는데

어떤 원리로 코는 시야에서 안보이는 효과를 가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일상생활 중에 코가 시야에 있지만 실제로 보이지 않는 것 같은 이유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이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두 눈은 각각 조금씩 다른 각도에서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 각각의 정보를 뇌가 통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만들어냅니다. 이 과정에서 잡음이 될 수 있는 정보는 자동으로 무시되거나 걸러지게 되죠.

    코가 눈 바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매우 가까운 물체로 인식됩니다. 이런 경우 뇌는 코가 항상 시야에 있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시야에서 '필터링'하게 됩니다. 이는 우리의 뇌가 주위 환경을 효율적으로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기능 중 하나로, 시야를 방해하는 불필요한 정보를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우리가 고개를 움직일 때마다 코의 위치도 따라서 미세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뇌는 코의 고정적인 존재를 주변 환경의 일부분으로 자동 인식합니다. 결국 시각적으로 굳이 그 존재를 '볼'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코를 인식에서 제외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뇌의 정보 처리 방식 덕분에 우리는 일상에서 코의 존재를 느끼지 않고, 더 넓고 자유롭게 주변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 뇌는 선택적으로 시각 정보를 선별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보통은 주의 집중을 통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무시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특히 눈의 경우 두 개의 시야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 중에서 시야의 초점에서 벗어난 정보들의 경우 코와 같이 주요 각도에서 벗어난 정보들은 제외시키는 경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코를 무의식적으로 의식하지 않도록 처리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사람의 두 눈은 각기 다른 각도에서 세상을 보며, 이 두 개의 다른 이미지를 뇌가 하나로 통합해서 해석하게 되어 있어요. 이 과정에서 두 눈이 서로 겹치는 부분은 시각적으로 통합되며, 시야에서 중요한 정보가 아니라면 뇌는 이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의 코는 항상 시야의 특정 위치에 있지만, 뇌는 코가 움직이지 않고 중요한 정보가 아니라 판단해서 우리 시야에서 제외시키는 거예요. 이를 '뇌의 필터링'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네요. 이 과정 덕분에 우리가 주변의 더 중요한 시각 정보를 놓치지 않고 집중할 수 있답니다. 이처럼 우리가 중요한 정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는 뇌의 놀라운 능력 덕분에 일상생활에서 효율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시야에서 코가 보이지 않는 이유는 뇌에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눈은 각각의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뇌는 이를 통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만듭니다. 두 눈에서 들어오는 정보는 뇌에서 서로 비교되고, 이를 통해 깊이감이나 거리감 등 3D 인식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코와 같은 물체는 두 눈의 시야 범위 안에 있지만, 뇌는 그것을 중요하지 않거나 방해되는 요소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그 정보를 의식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거죠

    이런 현상은 '배경화' 또는 '비의식적 억제'라는 원리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즉, 뇌는 우리가 집중하는 것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시야 내에 존재하지만 우리의 집중이나 의식적 경험에 방해가 되지 않는 물체는 시각적으로 '없어 보이게' 처리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