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말쑥한라마카크231
말쑥한라마카크23123.07.19

모기는 병을 옮기기도 하는것인가요?

사람의 병은 옮을수가 있는데요

모기가 사람을 물고 다른 사람을 또 물었다고 했을때

이전 사람이 가지고 있던 병이 옮아 가기도 하나요?

코로나나, 에이즈 등의 그런 병의 이전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숭늉한사발입니다.

    바이러스나 세균의 전파 능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각 바이러스에 관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각각의 질병의 전파가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는 지는 따로따로 연구 하여 발표되죠.


  • 안녕하세요. 영험한잠자리130입니다.

    모기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지카바이러스, 뎅기열,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등을 옮긴다고 합니다

    에이즈 같은 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의 피를 빨았다 하더라도 그 환자의 피가 새로운 사람에게 전달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빨간텐렉237입니다.


    일반적으로 모기가 사람을 물고 다른 사람을 또 물었을 때, 직접적인 병의 전파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모기는 피를 통해 바이러스나 병원체를 운반할 수 있지만, 이는 해당 바이러스나 병원체가 모기의 내부에 복제되지 않는 한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와 에이즈(HIV)와 같은 병은 주로 호흡기나 성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모기를 통한 전파는 증명된 사례가 없으며, 이러한 바이러스가 모기의 내부에서 복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모기가 이전에 물었던 사람이 해당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더라도, 그 모기가 다른 사람을 물었을 때 해당 바이러스가 전달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그러나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들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뎅기열, 열대열, 일본뇌염 등은 모기를 매개체로 전파될 수 있는 질병입니다. 이러한 질병의 전파는 모기 자체에 바이러스나 병원체가 존재하고 복제되어야 하며, 해당 모기가 다른 사람을 물었을 때 전파될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모기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나 에이즈 등의 병이 전파되는 것은 매우 희박한 가능성이며, 일반적인 방식으로 전파되는 질병이 아닙니다. 이러한 질병의 전파 경로는 해당 질병의 전파 메커니즘과 관련된 다른 요인들에 따라 다르므로, 각각의 질병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와 예방 조치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