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돌이 행성중 목성보다 훨씬 큰게 있다고 들었는데요. 어떻게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떠돌이 행성중에서 무려 목성보다 몇배나 큰게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정도 크기의 행성이면 엄청난 중력과 질량을 자랑할텐데요. 그렇데 어떻게 떠돌이 행성으로 돌아다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떠돌이 행성은 태양계의 어느 항성도 공전하지 않고, 우주 공간을 혼자서 떠돌아다니는 행성입니다. 크기는 목성만한 것부터 지구만한 것까지 다양합니다.
목성보다 몇 배나 큰 떠돌이 행성이 어떻게 떠돌이 행성으로 돌아다닐 수 있는지에는 두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첫 번째 가설은, 이 행성들이 원래 다른 별의 행성이었는데, 별의 중력에 의해 튕겨져 나와 떠돌이 행성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이 행성들은 원래 별의 공전궤도에 있었지만, 별의 질량이 변하거나, 별의 근처에 다른 행성이 지나가면서 중력 교란을 일으켜 튕겨져 나왔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두 번째 가설은, 이 행성들이 태양계 초기 형성 과정에서 만들어졌지만, 태양계의 형성을 마치면서 태양의 중력에 의해 태양계 바깥으로 밀려나 떠돌이 행성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이 행성들은 태양계 초기에 원시 행성계의 구름에서 만들어졌지만, 태양계가 형성되면서 태양의 중력에 의해 태양계 바깥으로 밀려났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이건 인간의 과학이해도를 초월하는 분야입니다.
애초에 그런 떠돌이 행성이 생겨서 돌고있다는 발견인건 뿐이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떠돌이 행성이란 우주에서 별과는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 천체를 말합니다. 이러한 천체들은 별과는 달리 자신만의 중력을 가지고 있지만, 충분한 질량을 가지지 않아서 별이 되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떠돌이 행성은 주변에 있는 별의 중력에 의해 돌아다니게 됩니다.
목성보다 훨씬 큰 떠돌이 행성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떠돌이 행성은 별이 되지 못한 이유 중 하나가 충분한 질량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떠돌이 행성은 별과는 달리 자신만의 중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질량을 가지지 않아도 자신의 중력으로 인해 떠돌아다닐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성들은 주변에 있는 별의 중력에 의해 궤도를 돌며, 떠돌이 행성으로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떠돌이 행성들은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많은 비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제가 앞으로 더 많은 떠돌이 행성을 발견하고 연구하면서, 이러한 천체들에 대한 이해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마다 영향을 받는게 다릅니다.
아무리 무거워도 기체로만 되어 있다면 부피만 크지 무게는 얼마 안나가잔아요
그리고 태양계에 영향을 안 받으면 사실상 더큰것들 얼마든지 존재가 가능한거죠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 약 20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태양계에서 가장 큰 목성보다 질량이 12배 더 크고 자기장은 200배나 센 떠돌이 행성이 발견됐다고도 하네요^^
사실상 우주는 엄청나게 크고 지금의 과학력으로 거의 대부분은 아직 알아낼수 없습니다.
언제 또 발견될지도 모르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