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노스볼트가 파산위험에 빠진 요인이 무엇인가요
몇년전 야심차게 준비한 노스볼트가 파이낸셜타임즈에서 파산위기에 빠졌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이미 수주계약이 몇조단위로 몇년치가 있음에도 이런 파산위험에 빠진 요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노스볼트는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배터리 제조를 확대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지만, 생산 문제와 핵심 고객의 계약 취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이미 수주 계약이 수조 원 규모로 확보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단기 자금 유치에 실패하면서 재정적으로 심각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노스볼트는 전기차 배터리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최근 유럽 전기차의 판매부진과 원자재 리튬 등 가격상승 그리고 경기침체에 따른 생산 비용 증가가 원인입니다.
또한 23년까지 생산량 4배를 늘리겠다는 CAPA 확장 계획을 수립했으나 수요 예측에 실패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유럽의 노스볼트가 파산 위기에 빠진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유럽의 노스볼트가 파산 위기까지 간 것은
결국 유럽 내에서의 수요가 둔화 되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배터리 양산에 어려움을 겪어온데다 최근 유럽 전기차 시장 침체가 겹치면서 재정난이 심화되었고, BMW와 맺었던 약 3조원 규모 배터리 공급 계약 취소되어 더욱 경영난에 빠져들어 결국 파산위험에 빠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노스볼트와 같은 경우에는
배터리 양산에 어려움을 겪어왔으며
더불어서 최근 유럽 전기차 시장 침체가 겹치면서
재정난이 심화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결국 기업이 어려워지는 것은 자금난때문입니다.
유럽의 주요 자동체 메이커들도 전기차 캐즘현상으로 인해 전기차 생산을 뒤로 미루거나
전기차 제조비용을 낮추기위해 노력하고있고
2차전지 배터리업체도 실적이 매우 안좋아지고있는 상황이라 노스볼트도 자금난이 발생한것으로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노스볼트는 유럽연합의 지원을 받으면서 스웨덴, 독일, 캐나다 등 에서 공격적으로 전기차 배터리 생산을 추진했습니다.
하지만 배터리 양산에 어려움을 겪어온 데다 최근 유럽 전기차 수요 감소로 경영이 크게 악화했고, 특히 6월 BMW가 22억달러 규모의 배터리 구매계약을 철회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고 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럽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인 노스볼트가 최근 파산 위기에 처한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전기차 수요의 일시적 정체로 인해 노스볼트는 생산 확대 계획에 차질을 빚었고, 이는 재정적 압박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주요 고객사와의 계약 취소도 재정 악화에 한몫했습니다. BMW와 체결한 약 2조 7,800억 원 규모의 배터리 공급 계약이 취소되면서 예상 수익이 감소하였고, 이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가중시켰습니다.
마지막으로, 자금 조달의 어려움과 경영진의 변화도 위기를 심화시켰습니다. 노스볼트는 2억 유로 규모의 자금 확보를 위한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으며, 스웨덴 확장 사업을 담당하던 자회사가 파산을 신청하고, 기가팩토리의 최고경영자가 사임하는 등 내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스웨덴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는 2023년 9월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하며 전체 인력의 25%를 해고하고 일부 공장의 생산을 중단했습니다.
노스볼트가 파산 위험에 처한 주요 원인으로는 첫째, 유럽 전기차 시장 침체로 인한 전기차 판매 감소와 재정적 어려움 둘째,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 비용 증가 셋째, 신규 공장 건설로 인한 추가 비용 발생 넷째, 자금 조달 실패 다섯째, BMW 등 주요 전기차 제조업체와의 계약 취소가 있습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며 재정 상황이 악화되었고 투자자 신뢰 부족으로 자금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노스볼트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미 유럽 유수 자동차브랜드와 배터리 수주계약을 대규모로 공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현재 생산된 설비에서 나오는 제품이 실제 1프로밖에 안된다고 하는데요 즉 수율이 1프로대로 원활히 생산이 안되니 오히려 원가가 훨씬 높아서 유동성위기에 빠진 요인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