혓바닥에 백태라는 거는 왜 생기는 건가요?
저희가 이를 닦을 때마다 제일 마지막에는 항상 혀클리너로 백태라는 것을 제거해주는데
이 백태라는 것은 왜 생기는 건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만약 백태와 함께 입안이 자주 마르는 증상이 있다면, 이는 구강건조증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은 침의 분비가 감소하여 입안이 마르는 질환이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으로 인해 혀의 각질이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고 백태가 생기며, 입안의 점막이 창백해지고 달라붙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음식을 씹고 삼키기가 어려워지고, 말하기도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입안을 외부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침의 양이 줄어들어 다양한 구강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은 침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으며, 일상에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침 분비를 자극하는 껌을 씹거나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만약 백태가 계속해서 확대된다면, 구강칸디다증을 의심해야 할 수 있습니다. 구강칸디다증은 진균류인 칸디다가 구강 점막에 증식하는 질환으로, 면역력이 약한 노인, 만성 질환자, 유아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구강칸디다증으로 인해 발생한 백태는 계속 확대되며, 통증과 발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때 백태 밑의 혀 점막이 짓무를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구강칸디다증 또한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으며, 예방을 위해서는 꼼꼼한 양치질로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구강위생용품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백태 제거를 위해 혀 클리너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혀 클리너는 입 냄새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치과 전문의들은 혀를 지나치게 세게 닦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혀의 표면에는 약간의 흰색 면역두가 분포하는데, 이를 백태로 착각하여 과도하게 긁어내면 상처가 생길 수 있으며, 입 냄새를 더 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혀를 부드럽게 긁어주는 것이 충분합니다. 양치를 마무리할 때 혀를 바깥 방향으로 3~4번 쓸어내리면 됩니다. 그 후에 입을 깨끗하게 헹궈주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