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얼음껑쥬
얼음껑쥬23.11.25

폐결핵재발되면 무조건 병원입원치료하나요?

나이
39
성별
여성

얼마전 회사 건강검진을 통해서 약간에 변형이 보인다고하여 큰병원에서 정밀검사받고 결과기다리는 중입니댜..검사중에 객담검사는 아직못한상황이구요..가래가 전혀 안나와서 못하고잇습니다..그래도 객담검사툥은 항상 지니고 잇어요..혹시나 나올거에대비해 담을라고 준비중입니다..만약 결과가 양성으로 나온다몀 무조건 병원격리필요한거이깅가요?참고로 전폐결을앓거 완치된지가 18년정도 됩니다..아무런 증상이 없어요..어떻게 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지금 듣기로는 결핵 재뱔 가능성은 낮아보이네요. 정밀검사를 한것도 아니고,,,.


    결과를 봐야겠지만,, 결핵환자는 2주정도 약먹야 전염성 적어진다고 생각합니다


    격리 스스로 가능하면 집에서 자가격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폐결핵이 있다고해서 무조건 입원치료를 하는건아닙니다.

    대부분은 외래에서 약을 처방받아 치료를 합니다.


  • 폐결핵이 재차 발생하였다면 전염력이 있기 때문에 타인에게 옮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 격리실에 격리하여서 입원치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현재 결핵과 관련된 뚜렷한 증상이 없다면 해당 병변은 이전에 폐결핵을 앓고나서 생긴 흉터 같은 병변일 가능성이 높으며 활동성결핵이 다시 재감염 혹은 재활성화 되었을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입니다. 결핵을 앓고 나면 TB sequellae 라는 흉터성 병변이 남는경우는 매우 흔하며 이는 치료의 대상이 아닙니다.

    결핵으로 진단된다면 약물치료를 하게 되며 반드시 입원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항결핵제는 주사제가 아니라 경구제 이기 때문에 처방받으시고 외래로 다니시면 됩니다. 약물 치료에 있어서 결핵의 경우, 병합 화학 요법을 사용하여 여러 항결핵제를 동시에 투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약제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이 불규칙하거나 치료가 임의로 중단되는 경우, 결핵균이 표준 치료에 내성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져 이후의 치료가 까다로워집니다. 결핵은 본질적으로 내과적인 질병으로, 적절한 치료를 통해 완치할 수 있는 병이며, 최소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이고 연속된 규칙적인 약물 복용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