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챗 지티피가 발전할수록 어떤 산업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건가요? 냉각기술인가요?

방대한 정보가 들어오게 되면서, 반도체 칩을 냉각시켜줘야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어떤 기술력인가요? 대한민국 자체 개발도 진행되고 있는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요즘 정말 AI 기능들이 엄청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AI가 커질수록 단순히 프로그램만 중요한게 아닙니다. 이와 관련된 기술개발들이 상당히 중요하죠. 칩과 서버를 식혀주는 기술이나,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기술, 빠른 통신망도 필요할테고요. 요즘엔 물속에 서버를 담그는 액침 냉각 같은 신기술도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반도체 강국으로 다양한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

    Chat GPT 같은 대규모 AI가 발전해 가려면 고성능의 반도체나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인프라가 필요합니다. 데이터 센터가 있으려면? 당연히 엄청난 양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되고 이와 관련되서 발생하는 열도 냉각시킬 수 있어야 됩니다. 요즘 이게 친환경에너지로 되냐 마냐 논쟁이 뜨겁죠. 칩이 고열을 내기 때문에 냉각기술도 상당히 중요합니다.우리나라도 당연히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반도체 기술이 제일 중요하다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연산을 처리하기 위해 NPU나 GPU의 발전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하이닉스가 관련 반도체 기술을 선도하여 삼성전자를 제친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챗GPT 같은 초거대 AI가 발전하려면 고성능 반도체 칩과 이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냉각·전력 인프라가 핵심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특히 칩 발열을 해결하기 위해 공랭식에서 한계가 있어 액침 냉각 수랭식 2상 냉각 같은 첨단 냉각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이 HBM과 패키징 기술을 일부 스타트업·연구소에서 액침 냉각 시스템을 자체 개발 중이라 글로벌 경쟁에 합류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