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디지털·가전제품

음향기기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비싼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확실히 음향이 좋은 게 체감이 되나요?

비싼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보면 수십만원부터 수백만원 짜리도 있더라고요..

그렇게 고가의 제품이 과연 그만큼 음질이 좋은건가요? 비싼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확실히 음향이 좋은 게 체감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가전은일렉트릭24
    가전은일렉트릭24

    왜 비싼 이어폰/스피커가 좋은가요?

    1. 음질의 섬세함 (해상도, 디테일)

    고가 제품은 소리의 미세한 디테일까지 표현 가능.

    예: 악기의 미세한 떨림, 보컬의 숨소리 등도 들림.

    2. 저음, 중음, 고음의 밸런스

    싸구려는 저음만 웅웅하거나 고음이 찢어짐.

    고급 제품은 모든 음역대를 조화롭게 재현.

    3. 공간감과 입체감 (스테이징)

    고가 스피커는 마치 콘서트 홀에 있는 듯한 공간감 제공.

    이어폰조차도 좌우, 앞뒤 방향성이 느껴짐.

    4. 왜곡이 적고 청취 피로도가 낮음

    싸구려는 오래 들으면 귀가 아프거나 피곤함.

    고급 제품은 오래 들어도 편안함.

    음향가전도 일렉트릭24에서...->http://electric24.co.kr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비싼 이어폰·스피커, 정말 음질이 확실히 좋은가?

    결론부터 말하면, 일정 수준 이상의 가격대에서는 확실히 음질 차이가 체감됩니다. 하지만 그 이상의 초고가 제품에서는 ‘음질’보다는 ‘음색’이나 ‘성향’ 차이, 그리고 개인의 청감, 환경, 취향에 따라 느끼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1. 가격대별 음질 차이: 어디까지 체감되나?

    저가(만원대~10만원 초반):

    기본적인 음질, 내구성, 기능만 제공합니다. 저음과 고음에서 왜곡이 있을 수 있고, 음역대 분리나 입체감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중가(10~30만원):

    드라이버, 부품, 설계가 좋아지면서 음질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됩니다. 고음의 선명함, 저음의 깊이, 중음의 밸런스가 확실히 좋아지고, 음장감(입체감)도 느껴집니다. 음악을 자주 듣는 사람이라면 확실히 체감할 수 있습니다.

    고가(수십~수백만원):

    이 구간부터는 ‘음질’의 절대적 향상보다는, 각 브랜드의 ‘음색’, ‘특색’, ‘질감’ 등 미묘한 차이와 완성도가 중요해집니다. 특정 음역대의 해상도, 공간감, 디테일, 노이즈 억제 등에서 차별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인에게는 ‘극적인’ 차이로 느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실제 체감은 어느 정도?

    누구나 느끼는 차이:

    저가에서 중가로 넘어갈 때는 대부분의 사람이 음질 차이를 분명히 느낍니다. “확실히 소리가 좋다”, “더 선명하다”, “악기 소리가 구분된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고가로 갈수록:

    100만원 이상 등 초고가 영역에서는 “음 좋군, 끝”처럼 감탄보다는 미묘한 차이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음악적 성향(저음 강조, 고음 강조 등)이나 브랜드 특유의 음색, 디자인, 내구성, 부가 기능 등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개인차:

    귀가 민감한 사람(‘황금귀’)은 미세한 차이도 잘 느끼지만, 일반인은 큰 차이를 못 느끼기도 합니다. 같은 제품을 번갈아 들어보면 차이가 더 잘 느껴지지만, 한 제품만 오래 쓰면 둔감해지기도 합니다.

    3. 비싼 제품이 무조건 좋은 건가?

    대체로 가격이 오르면 음질도 좋아지지만, 무조건 비쌀수록 좋은 건 아닙니다.

    일부 저가 제품 중에도 가성비가 뛰어난 모델이 있고, 고가 제품도 본인 취향이나 사용 환경에 맞지 않으면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음질 외 요소:

    고가 제품은 내구성, 착용감, 노이즈 캔슬링 등 부가 기능, 디자인, 브랜드 가치 등도 가격에 반영됩니다.

    4. 실제로 들어봐야 한다

    청음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같은 음악을 여러 이어폰·스피커로 번갈아 들어보면 음질, 음색, 공간감의 차이를 직접 느낄 수 있습니다.

    요약

    10~30만원대까지는 대부분 음질 차이가 확실히 체감됩니다.

    100만원 이상 초고가는 미세한 차이, 음색·취향·브랜드 가치의 영역입니다.

    귀의 민감도, 듣는 환경, 취향에 따라 체감도가 다릅니다.

    비싼 제품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며, 직접 들어보고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비싼 이어폰·스피커, 확실히 좋은가?”

    네, 일정 수준까지는 확실히 체감됩니다. 하지만 그 이상은 ‘음질’보다는 ‘음색’과 ‘취향’의 영역입니다.

  • 비싼 이어폰 스피커는 확실히 음질 차이를 체감할 수 있지만 사용 환경과 청취자 귀에 따라 달라집니다.

    수십만 원대부터 음 분리, 해상도, 저음 고음 밸런스가 눈에 띄게 좋아집니다.

    다만 수백만 원대 제품은 오디오에 민감한 사람이나 전문가가 아니면 가성비는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보통 20만원대까지는 차이가 확실히 체감된다고봅니다 소리가 깨끗하고 해상도가 높아지는게 느껴지거든요 글고 베이스음이나 고음이 더 섬세하게 들리구요 근데 그 이상 가격대는 음악매니아가 아니면 차이를 못느낄수도 있을것같아요 글고 비싼제품도 청력이나 음악취향에 따라 별로일수 있으니 꼭 매장가서 들어보고 결정하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 비싼 이어폰이나 스피커는 더 좋은 재료와 기술로 만들어져서 고음, 저음, 중음이 더 선명하고 풍부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음질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마다 귀의 민감도가 달라서 체감 정도는 다를 수 있고, 요즘은 가성비 좋은 제품도 많으니 본인 취향과 용도에 맞게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비싼 이어폰과 싼 이어폰의 주요 차이는 음질, 디자인, 편의성, 기능, 내구성 등에 있습니다. 비싼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더 좋은 음질을 제공하고, 다양한 편의 기능과 튼튼한 내구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 비싼 이어폰이나 스피커는 확실이 듣게되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 큼의 가격을 내고 듣는 사람이 많이 없을겁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타협을 통해 적당한 가격대의 음질의 스피커를 구매하죠. 미약하게 좋아지는 부분에도 엄청난 돈을 들일 필요는 없으니까요. 일반은은 구분도 잘 못하고요.

  • 단순히 크기만 큰 게 아니라, 노래 속에 숨겨진 작은 소리들, 악기 하나하나의 위치 같은 게 더 선명하게 들리거든요. 저음, 중음, 고음이 서로 방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느낌도 있고요. 마치 가수가 바로 앞에서 노래하는 것처럼 소리가 입체적으로 느껴지기도 해요. 그러니 비싸더라도 구입하는 거죠.

  • 안녕하세요~석산화입니다~

    1~2만원짜리와 10만원, 50만원대 제품은 대부분이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해상도 소리의 입체감 음 분리도 저음의 단단함 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50만원과 200만원 200만원과 500만원대처럼 초고가로 갈수록 음질보다는 소리의 성향 브랜드 가치 희소성 등 다른 요소가 더해집니다. 이 구간에서는 실제로 들어보고 본인 취향에 맞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중저가 10~30만원대만 써도 대부분의 사람은 충분히 좋은 음질을 느낄 수 있습니다. 초고가는 마니아 전문가 영역에 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