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안좋고 좋은 것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우리 경제가 좋지 않다고 볼 수 있는 신호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개인 의 부채는 계속 늘어나는 상황인 것 같고.
어떤 것을 보고 경제가 좋은지 아닌지를 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경제의 흐름에 따라서 우리에게 많은 영향이 있는데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제가 좋고 나쁨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물가의 흐름으로 경제를 판단하기도 하고
실업률을 갖고도 경제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런 여러 지표들을 갖고 복합적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의 경제상황을 보여주는게 요즘 기준금리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가장 큰 경제지표가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거든요 이 2가지 요소를 고려해서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지난 화요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0.25프로 인하했습니다 그래서 현재 2.75프로가 우리나라 기준금리죠
기준금리를 인하한 가장 큰 이유가 경제성장률 저하입니다 올해 1.9프로 성장을 예상했지만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을 1.50프로로 낮추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이 국가나 지역 경제 경기를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고 한국은행이나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각종 경제 지표를 보고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먼저, 통계청이나 한국은행에서 매달 발표 하는 경제 지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경제지표는 경기 후행, 동행 및 선행 비표가 있습니다. 후행지표는 경기 상황 보다 늦게 시그널을 주는 것이고 동행지표는 현재 경기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선행지표는 경기를 미리 짐작케할 수 있는 지표를 의미합니다. 이는 각국 경제 상황과 특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기후행 지표는 물가지표, 경제성장 관련 지표들입니다. 동행 지표는 고용지표(실업자수, 실업 수당 신청 건수) 등이 이고 선행지표의 대표적인 사례는 주식 가격이나 건설 관련 지표들입니다.
한국에서 거주하는 개인이 체감할 수 있는 시그널로는 주요 핵심 상권의 유동인구, 각종 건물이나 빌딩 건설 현장의 수, 개인 가처분소득 증감 등으로 확인할 수 있을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상황에 대해 다양한 지표들을 참고하면 좋은지 안좋은지 알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경제성장률이 있고, 보다 세부적으로는 동행종합지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개별 경제지표로 파악하기 어려운 국민경제의 총체적인 경기수준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는데요. 공급측면의 광공업생산지수, 도소매업을 제외한 서비스업생산지수, 실질가격 기준 수입액, 비농림어업취업자수 등과 수요측면의 소매판매액지수, 내수출하지수, 건설기성액 등과 같이 경기순환과 함께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가공·종합하여 만든 지수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좋은지 안좋은지는 여러 지수나 지표들을 참고해서 볼수 있습니다. 거시경제 지표인 GDP 성장률이나 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 등을 참고햐 볼수 있습니다. 주식/채권 시장의 움직임과 기업 실적 등의 금융 지표에서도 경제의 모습이 티가 날수 있습니다. 소비자 신뢰지수나 제조업 지표 등을 참고해서 소비자들과 기업의 심리 상태를 볼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일본과 정반대입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고 내수는 포지션이 작습니다 그래서 현재처럼 자영업자가 망하고 젊은 세대나 직장인들이 어려움에 겪는 거와 다르게 부유층들은 잘 먹고 잘 살고 있습니다 나라의 돈이 없으면 저소득층 약자 이런 사람들의 복지 비용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특히나 자영업자 연체율 폐업률 일반인들의 파산 연체 가계 대출 증가 등을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지표로 판단을 하곤 합니다
여러 경제 지표가 있겠지만 소비자 신뢰지수와 GDP, 소비자 물가지수 등으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좋지 못하다는 지표는 소상공인들의 폐업률을 보면 알 수 있고 내수경제
침체를 의미하는 지표가 여럿 나오고 있습니다
가장 단편적이고 전체적인 지표를 원하신다면 물가상승율과 경제 성장율을 비교한 실질 경제성장율을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최근 우리나라는 실질 경제성장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의 좋고 나쁨은 GDP 성장률, 물가 상승률, 금리, 실업률, 소비 및 투자 지표, 부채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판단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