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기발한무당벌레114
기발한무당벌레114

밥도 계속 씹다보면 단맛이 나던데 이유가 뭔가요?

평소에 밥을 먹을 때는 맨밥만 먹는게 아니라 다른 반찬이랑 같이 먹다보니까 잘 몰랐는데 최근에 한번 맨밥만 먹어봤는데 실제로 단맛이 나길래 뭔가 싶어서 물어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운좋은원앙67
    운좋은원앙67

    밥을 오래 씹다 보면 단맛이 나는 건 입안에서 전분이 당으로 분해되기 때문이에요. 밥의 주성분인 쌀은 대부분 전분으로 되어 있는데, 이 전분이 침 속에 있는 아밀레이스(ptyalin)라는 소화효소에 의해 말토스 같은 당분으로 분해돼요. 그래서 처음엔 밍밍한 맛이 나다가, 계속 씹을수록 점점 단맛이 느껴지는 거예요. 반찬 없이 맨밥만 먹을 때 이 변화가 더 뚜렷하게 느껴지죠. 이건 소화 과정의 일부라서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오히려 침의 소화 기능이 잘 작동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당분이 분해되기 때문이에요. 밥은 전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침 속의 아밀라아제라는 소화 효소가 작용하면서 전분이 이당류와 단당류 등으로 분해가 됩니다. 따라서 단맛을 느끼게 되는 거에요.

  • 안녕하세요. 빛나라 하리 입니다.

    탄수화물의 소화는 입에서 시작이 됩니다.

    침 속에 있는 타액 아밀레이스 라는 효소가 탄수화물을 잘게 쪼개기 시작 합니다.

    밥을 오래 씹으면 단맛이 나는 이유는 바로 이 효소 때문 입니다.

  • 밥을 오래 씹다 보면 침 속의 아일헤이스라는 소화효소가 작용해 쌀 속의 전분을 분해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븐은 말토스라는 당분으로 바뀌어 단맛이 느껴집니다.

    반찬 없이 맨밥만 오래 씹을 때 이 변화는 더 잘 느껴지는 것이구요.

  • 밥을 씹으면 전분이 분해되며 오래 씹을 수록 포도당으로 분해가 된다고 합니다. 포도당은 혀에서 단맛을 느끼는

    당분이기 때문에 밥을 오래 씹을수록 단맛이 납니다!

  • 밥을 오래 씹을수록 단맛이 나는 이유는 침 속에 있는 아밀라아제 효소가 밥의 주성분인 전분을 말토스나 포도당 같은 당분으로 분해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석산화입니다~

    밥 자체에 설탕이 들어있지 않아도 침 속 효소가 탄수화물을 당분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단맛이 느껴지는 것입니다.

  • 밥을 오래 씹으면 단맛이 느껴지는 이유는 쌀 속의 전분이 침 속의 아밀라아제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당분으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밥이 주로 전분 형태지만 씹으면서 효소가 전분을 포도당 등 단당류로 분해해 달콤한 맛을 내는 겁니다. 특히 흰 쌀밥은 전분 함량이 높아 단맛이 더 잘 느껴지고 다른 반찬과 함께 먹으면 마시 섞여 단맛이 덜 느껴질수 있습니다.

  • 밥을 오래 씹으면 침이 섞이면서 아밀레이스가 전분을 분해합니다. 이때 전분과 말토스,포도당처럼 점점 단맛이 나는 당류로 바뀝니다.

  • 밥을 씹으면 단맛이 나는 이유는 침에 들어있는 아밀라아제라는 소화효소가 밥의 주성분의 녹말을 맥아당으로 분해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씹으면씹을수록 아주 고급지면서 구수한 설탕에서는 느낄수없는 풍미있는 단맛이 발생하게 되는것입니다.

    아밀라아제가 밥의 녹말을 분해 그것이 맥아당으로 변화 이것이 포인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