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왜 물가를 한번 상승시키면 기업들은 가격을 다시 하락시키지 않는걸까요?

전 세계적으로 꽤 오랜 시간동안 인플레이션과 싸우고 있습니다. 그 여파로 생활속 모든 물가가 일제히 상승해왔습니다. 그런데 왜 물가를 한번 상승시키면 기업들은 가격을 다시 내리지 않는것일까요? 예를들면, 지금 국제 밀가격은 50퍼센트가까이 최고점 대비해서 하락한 상태인데 과자든 빵이든 가격은 그대로입니다. 기가막히고 분노의 궁금증이 생겨 여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추후 원자재 등의 가격이어떻게 진행될지 모르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부담으로 가격 인하가 어려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사를 해보시면 알게 됩니다

      판매자들은 질이 같을 경우 가격으로 경쟁을 합니다

      지금같은 경우는 단합이 의심되고요

      매출이 잘 유지되는 거라고 봅니다

      매출이 떨어지면 가격을 떨어트려 구매자들을 넓혀야하는데

      올린 가격에서도 지난번보다 수익이 나면 떨어트릴 이유가 없습니다 자원봉사자도 아니고

      자본력이 부족한 영세업들이 가격경쟁이 뛰어들어야 하는데

      이제는 영세업자들이 낄 판도 없고 사업자들끼리도 빈부격차가 큽니다

      가격만 내리고 원가나 챙기다 나가는 거죠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는 시장주의입니다. 가격이 내려가면 수익이 떨어지죠. 경쟁업체에서도 가격을 내리지 않는한 쉽게 내려가지 않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