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왜 물가를 한번 상승시키면 기업들은 가격을 다시 하락시키지 않는걸까요?
전 세계적으로 꽤 오랜 시간동안 인플레이션과 싸우고 있습니다. 그 여파로 생활속 모든 물가가 일제히 상승해왔습니다. 그런데 왜 물가를 한번 상승시키면 기업들은 가격을 다시 내리지 않는것일까요? 예를들면, 지금 국제 밀가격은 50퍼센트가까이 최고점 대비해서 하락한 상태인데 과자든 빵이든 가격은 그대로입니다. 기가막히고 분노의 궁금증이 생겨 여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추후 원자재 등의 가격이어떻게 진행될지 모르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부담으로 가격 인하가 어려운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사를 해보시면 알게 됩니다
판매자들은 질이 같을 경우 가격으로 경쟁을 합니다
지금같은 경우는 단합이 의심되고요
매출이 잘 유지되는 거라고 봅니다
매출이 떨어지면 가격을 떨어트려 구매자들을 넓혀야하는데
올린 가격에서도 지난번보다 수익이 나면 떨어트릴 이유가 없습니다 자원봉사자도 아니고
자본력이 부족한 영세업들이 가격경쟁이 뛰어들어야 하는데
이제는 영세업자들이 낄 판도 없고 사업자들끼리도 빈부격차가 큽니다
가격만 내리고 원가나 챙기다 나가는 거죠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는 시장주의입니다. 가격이 내려가면 수익이 떨어지죠. 경쟁업체에서도 가격을 내리지 않는한 쉽게 내려가지 않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