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이 오르면 세계 경제가 그리 좋지 못한 신호인가요?
온스당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하는데..
세계 경제 상황은 그다지 좋지 않다고 하더라구요..
금값이 오르면 경제가 안좋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는 건가요?
금값 상승은 통상 위기 회피 심리의 결과로 경제 불안과 달러 약세 시 강세를 보입니다. 실물 경제의 호황보다는 불확실성 신호로 해석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의 가격이 많이 오른다는 것은
그만큼 불확실성이 크고 다른 자산에 비하여
안전자산이라는 인식도 있기에 그런 것으로
세계경제가 좋지 못하기 보다는 불확실성이 크기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글로벌 경기가 좋지못하고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국제정세 불안 등은 안전자산인 금의 수요를 확대하기는 합니다,
다만 꼭 그런 상황외에는 경기 호황에 따른 인플레이션 발생시 헷지 수단으로도 작용할 수 있으며 달러 가치 하락이나 저금리 상황에서도 금이 오르기도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값이 오를 때는 대체로 시장이 불안하거나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시점인 경우가 많습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라 주식이나 채권보다 위험이 낮다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전쟁, 인플레이션, 달러 약세, 금리 인하 기대 같은 요인이 겹치면 투자자들이 금으로 몰리면서 가격이 오릅니다. 반대로 경기가 좋아지고 위험자산 선호가 커지면 금값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금값 상승은 경제가 불안하다는 신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은 그렇게 됩니다.
왜냐하면 일단 경제가 좋지 않으면 돈을 많이 풀게되며 거기에 +불안감 등으로 인해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리게 됩니다.
여기서 보통 채권으로 돈이 몰릴 텐데 달러마저도 위태롭다는 불안감에 더더욱 금으로 몰린 것입니다.
결국 시장은 한번 크게 가라앉아야 다시 갈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미리 안 중국이나 다른 여타 나라들도 금을 계속 모으는 이유가 있습니다.
거기에 금은 전자산업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필수재료이며 인간이 채굴할 수 있는 량의 95%를 채굴하였다 하니
앞으로도 값어치는 우상향할 수 밖에 없는 재료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금값이 오른다고 하는 것은 그만큼 사람들의 심리에 불안정성이 높아 투자한 자산이 어떻게 떨어질 지 모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대통령의 발언 등으로 인해 자산이 10%이상 녹는다고 한다면, 그리고 이것이 특정한 세력이나 인물의 심리나 마인드에 기초해서 자산이 변동가능성이 높다고 한다면 사람들은 이러한 위험성을 가지지 않을 ㅕ고 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금에 대한 투자가 높다는 것은 사람들의 심리에 불안한 경제흐름이 발생한다고 볼 것 같아요.
금은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며 경제적 또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질 때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투자자산으로 선호되고 있습니다. 최근 몇년간 지속되는 인플레이션과 세계 곳곳에서의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인해 금값이 계속해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값이 오르는 것은 일반적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해볼 수 있는데요. 역사적으로 경제 위기, 지정학적 긴장, 인플레이션 등 위험 요인이 발생할 때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안전자산'의 대표적인 예가 금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값이 오르게 되면 세계 경제가 그리 좋지 못한 신호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금은 안전자산으로 금 값이 오른다는 것은
세계 경제가 불확실하고 나쁘다는 것을 뜻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