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 논쟁은 무엇을 말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인 사단칠정 논쟁은 무엇을 두고 논쟁을 한 건가요?
제가 언뜻 기억하기로는 이와 기가 어쩌고 했었던 것 같은데 내용이 무엇이고, 논쟁의 승리는 누구였나요?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은 유교 철학에서 인간의 본성과 감정에 대한 논의입니다. 사단은 인(仁)·의(義)·예(禮)·지(智)의 네 가지 도덕적 감정을 뜻하며, 칠정은 기쁨(喜)·노여움(怒)·슬픔(哀)·두려움(懼)·사랑(愛)·미움(惡)·욕구(欲)의 일곱 가지 감정을 의미합니다. 사단과 칠정이 이기로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논의하는 것입니다.
이 논쟁은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1559년부터 1566년까지 8년 동안 편지로 논쟁한 것을 유명합니다.
논쟁의 주요 내용은 이황은 사단은 이(理)의 발현이고 칠정은 기(氣)의 발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기대승은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氣)의 발현이며, 이(理)는 기(氣)를 주재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이후에도 논쟁은 성혼과 이이 등 학자들에 이어졌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일단 간단히 나누면 율곡이이,기대승 VS 퇴계이황,성혼입니다. 이건 이이와 기대승, 이황과 성혼 의 의견이 같다는건데요.
율곡은 기발이승일도설, 그러니까 기가 발하며 이가탄다, 오직 하나만 인정하는거고요
퇴계는 이기호발설, 이가발하면 기가 이를 따라가고 기가 발하면 이가 기를 탄다. 라는 말입니다.
율곡의 사상은 이 와 기의 역할을 따로 보면서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 는 말로 이와 기의 조화와 공존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반면 퇴계의 사상은 이도 발하고 기도 발하는데 이는 순선하고 완전무결하고 기는 천하고 더러운 면이 있기때문에 이귀기천, "이는 귀하고 기는 천하다" 라는말로 기는 배제하고 완전무결한 이 만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이황 이이의 사단칠정논쟁에서 논리적인 승자는 '이이'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