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터를 이해하는 프로그램언어는 어떻게 구현중인가요
양자컴퓨터는 이진법이아닌데요 그렇다면 컴퓨터를 이해하는 프로그램언어가 어떤 형태로 구현중인것인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Qiskit이나 Q#과 같은 언어는 양자 컴퓨팅의 복잡한 논리와 연산을 직접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되었죠. 이외에도 기존 언어의 확장시킨 Python은 양자 알고리즘 라이브러리를 통해 양자 컴퓨터를 제어하는 데 현재 널리쓰이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주로 Python 같은 언어 위에 양자 연산 추상화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기존 이진법 기반 비트 연산과는 완전다른 상태 연산 개념으로 만들어진 언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기존에 사용되는 컴퓨터는 비트단위여서 0과 1일 공존하지 못하여서 사용되는 언어가 논리 게이트입니다. 논리 게이트는 AND, OR, NOT을 사용해서 연산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현재 양자컴퓨터는 큐비트를 활용해서 사용되는 언거가 양자 게이트로 정해진것이 아니라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양자프로그래밍 언어는 기존 컴퓨터의 0/1 비트 대신에 큐비트, 게이트, 측정을 1급 개념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파이썬 기반의 전용 언어들 회로 기술어, 중간표현 등이 있는데, 컴파일러가 이를 하드웨어별로 네이티브 게이트와 펄스로 변환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양자컴퓨터는 큐비트의 중첩과 얽힘 상태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선형대수 연산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해 특수한 양자 프로그래밍 언어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Cirq, IBM의 Qiskit, 마이크로소프트의 Q# 등이 있으며 이들은 양자 게이트 연산을 정의하고 시뮬레이션하거나 실제 양자 하드웨어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즉 고전 컴퓨터 언어처럼 0과 1이 아닌 양자 상태 변환을 명령어 단위로 다루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