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3.12.18

겨울에 나뭇잎이 쩔어지는 나무와 떨어지지 않는 나무에 차이는 무엇때문인가요?

문득 궁금해 지는데 산책늘 하다보니 겨울 나무들이 일부는 가지에 나뭇잎이 없고 있는 나무도 있는데 이런 현상은 어떤 원리로 이루어지는 현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운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영양 공급이 원할하지 않기 때문에 나뭇잎에 수분 등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나무 내부의 물관을 닫아 버립니다. 이에 따라 수분이 공급되지 못하는 나뭇잎은 말라 떨어지게 됩니다. 영양분이 충분히 있는 나무의 경우 이 물관을 닫지 않아 잎이 유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나뭇잎이 쩔어지는 나무와 떨어지지 않는 나무의 차이는 나무의 종류에 있습니다. 낙엽수는 가을이 되면 나뭇잎에 있는 엽록소가 분해되고, 대신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과 같은 색소가 나타나면서 단풍이 듭니다. 그리고, 추운 겨울이 되면 나뭇잎의 물이 얼어서 잎이 떨어지게 됩니다. 반면에, 상록수는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상록수는 나뭇잎의 세포에 있는 이온이나 당의 농도를 높여서 어는 점을 낮추는 방법으로 겨울을 나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에 나뭇잎이 쩔어지는 나무는 낙엽수이고, 떨어지지 않는 나무는 상록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이 되어 기온이 내려가면 나뭇잎과 몸통을 이어주는 떨켜라는 조직의 물관이 막혀버리면서,
    잎사귀에 수분공급이 끊기고 기공으로부터 수분이 날아가 나뭇잎이 바짝 마르게 됩니다.

    마른 나뭇잎은 힘이 없어져 떨켜로부터 떨어져나와 낙엽이됩니다.

    이러한 떨켜의 작용은 나무마다 달라 낙엽이 되는 온도가 다르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는 겨울애 몸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잎을 떨어뜨립니다. 잎이 떨어지지 않는 것들은 겨울에도 크게 이상없는 침엽수나 겨울철에 활기를 찾는 동백나무들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뭇잎이 떨어지는 나무는 활동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잎을 자연적으로 떨어뜨립니다. 겨울은 더 추운 계절이기 때문에 물과 영양분의 공급이 제한되고, 조건이 불리한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나무들은 잎을 떨어뜨려 차가운 겨울 동안에도 에너지를 절약하고 생존을 돕습니다. 나뭇잎이 떨어지지 않는 나무는 영양분을 저장하고, 겨울 동안에도 광합성을 계속할 수 있는 적응력이 있습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겨울에도 잎을 유지하여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주로 상대적으로 온난한 기후 또는 온실 같은 보호된 환경에서 발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