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물이나 우유와 같은 액체가 병에 담기면 병의 옆면을 타고 액체들이 살짝 위로 올라가던데 왜 그럴까요?

물이나 우유와 같은 액체가 병,그릇에 담기면 병의 옆면을 타고 액체들이 살짝 위로 올라가던데 평평하지 않은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액체가 병에 담겨 있을 때, 액체 표면 위에서 분자 간의 인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 생깁니다. 이를 표면장력이라고 합니다. 이 표면장력으로 인해 액체는 병의 벽면을 따라 올라가려고 합니다. 그러나 병의 벽면에 닿게 되면 액체 분자들이 벽면 분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붙어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표면장력에 의한 올라가는 힘과 붙어있는 힘이 평형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하지만 액체와 공기 사이에 경계면이 생기게 되면, 이 경계면에서는 표면장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계면 위로 액체 분자들이 올라가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액체가 병에 담긴 상태에서는 액체와 공기 사이에 경계면이 생기고, 이 때 경계면 위로 액체 분자들이 약간 올라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게는 표면장력이 있어서 서로 끌어드리는 힘이 있습니다.

      그런상태에서 벽면을 만나게 되면 벽면과의 끌어당김이 또 생겨서 물이 끌려서 벽에 붙게 됩니다.

      그래서 U자 형태의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

      물질간의 인력(=끌어당기는힘)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었다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액체의 분자들은 서로 인력을 통해 서로에게 끌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인력은 표면에 있는 분자들에 의해 더 크게 느껴집니다. 이것을 표면 장력이라고 부릅니다. 액체가 병에 담기면 병의 옆면과 액체 사이에 표면 장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 표면 장력은 액체 분자들을 서로 당기며, 옆면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현상을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표면 장력이 큽니다

      그래서 유리병 안에 있는 물도 표면장력에 의해 유리그릇에 붙어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액체 분자들은 서로 인력을 발생시키는 분자간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상호작용은 분자들이 서로 가까이 몰리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액체 표면은 약간 볼록한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이것을 표면장력이라고 합니다.그래서 물이나 우유와 같은 액체가 병,그릇에 담기면 병의 옆면을 타고 액체들이 살짝 위로 올라가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액체가 병 안에 들어갔을 때 옆면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현상은 캡일러리 현상(capillary action)이라고 불립니다.

      이 현상은 표면장력(surface tension)과 코풀러효과(Cohesion)에 기반하여 발생합니다.

      액체의 표면에 있는 분자들이 서로에게 인력을 미치는 현상을 표면장력이라고 하며, 액체 분자들이 서로 결합하는 성질을 코풀러효과라고 합니다. 병의 옆면을 타고 올라가는 액체 분자는 캡일러(capillary) 라고 불리는 병 안의 작은 구멍 속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표면장력과 코풀러효과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 현상은 액체의 표면장력과 밀도, 병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액체와 병의 접촉면적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병 안에서 액체가 위쪽으로 올라가는 정도는 액체의 종류나 병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표면장력 때문입니다.

      말씀대로 컵의 용량을 살짝 초과해도 인력 때문에 흘러넘치지 않는데요, 이런 인력의 생은 표면장력의 영향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위쪽으로 볼록한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