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보람찬파랑새154
보람찬파랑새154

집에 오래된 알약들 진짜 효과가 떨어지나요?

유통기한 몇년씩 지난것들이요.

약을 먹을일이 거의 없으니 이런게 쌓여만가네요. 약국 가져다주기도 좀 민망하긴한데...

약이니 괜찮겠지 싶은데 궁금하네요. 버리는게 최선맞겠지요? 얼마 비싸진 않지만 쌓이니 아깝단 생각도 들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가까운 주민센터에 모아가셔서 버리시면 됩니다.

      유통기한이 몇년씩 지난 약들은 단지 쓰레기 일뿐

      먹을 수 없는 짐입니다.

      민망해하지마시고 약국이나 주민센터에 버리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간이 몇년지난 약은 과감히 버리셔야 합니다

      집에서 쓰레기통에 버리시면 안됩니다

      지질 오염과 수질 오염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약을 한꺼번에 종이나 비닐에 담아서 약국으로 가져다 주시면 약국에서 폐기해드립니다

      부담갖지 마시고 약국으로 가져가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민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 지난 의약품의 경우 효능은 점점 떨어지고 부작용은 점점 증가합니다.

      따라서 약국 혹은 보건소에 설치된 폐의약품 전용 수거함을 통해 폐기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폐기하시는 게 좋습니다

      약의 유통기한은 해당 약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90% 될때의 시점을 말하며 이후에는 유효성분 함량을

      보장해주지 못할 뿐 아니라 변질되었을 경우에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그때는 보건소나 근처 약국에 가셔서

      약이나 영양제를 폐의약품함에 넣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건강을 위해 약과 영양제를 먹는 만큼

      새롭게 본인에게 맞는 것을 찾아 구입하시는 게 현명하십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랄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 영양제 등은 폐기하시는 게 좋습니다

      약국이나 보건소에 가시면 가능합니다


      유통기한이란 건 약효의 90%를 최소한 내도록

      보장하는 기간인데요 이 기간을 넘기게 되면

      아무래도 효능효과를 덜 볼 수 있겠죠?


      유통기한이 지나기 전에도 변질되거나 착색되고 오염되면

      약을 폐기하셔야 하므로 웬만해서 새로 구입하시거나

      처방약이라면 새로 처방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몇년이나 지나셨다면 약을 복용하지마시고 폐기하시는게 좋습니다.

      약의 유통기한은 약이 제대로 효능을 낼 수 있는 기간을 정한 것이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하신다면 제대로 효능이 나타나지 않을 뿐더러 부작용만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봉하신 약인 경우 공기 중의 산소와 수분에 노출되어 유통기한보다 빨리 변질됐으니 주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몇년씩 지난약들은 폐기하시는게 좋습니다.

      약은 유효기간이 지나면 약효가 떨어집니다. 또한 약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 성분들이 변질되기도 합니다.

      폐기하시는 방법은 거주하시는 곳의 보건소에 전화하시면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알려줄 겁니다. 그곳에 폐기하시면 됩니다. 그냥 버리시면 토양, 수질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약국이나 보건소에 가서 폐기하는게 좋습니다.

      -유효기한이 많이 지난 약은 약의 성분이 변질되어 효과가 감소합니다. 또 변질된 성분에 의해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효기한이 지난 약이나 영양제는 가능하면 근처 큰약국이나 보건소에 방문해 폐기 요청하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의약품은 유통기한이 아닌 유효기간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의약품의 유효기간이란 '약효가 90%이상 남아있는 기간'을 뜻하는데, 이는 해당 의약품의 품질을 보증하는 기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의약품의 품질에는 약효 뿐만 아니라 안전성, 안정성 등 모든 기준에 부적합할 수 있으므로 유효기간이 지난 의약품은 폐기처리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 의약품의 경우 '사용기한' 으로 표현하시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기한은 최초 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90% 이상의 효능이 보장되는 기간으로 설정합니다.

      사용기한을 이미 지나버린 경우

      유효성분의 변화로 약효 측면에서도 충분한 효과가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부산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사용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겉보기에 멀쩡해보여 폐기하는 것이 다소 아까우시더라도

      새로 처방 받아 복용하시거나, 일반의약품인 경우 약국에서 새로 구매하시어 복용하시길 권유드립니다.

      더 이상 복용할 계획이 없는 경우 근처 약국이나 보건소로 폐기를 요청하시면 되겠습니다.

      (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한 것이니 전혀 민망해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

      지자체에서 이 약들을 수거하여 별도의 폐기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여담으로 최근에는 지자체에서 수거가 원활히 되지 않아 약국마다 폐기 의약품이 다소 쌓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간혹 이러한 사정으로 의약품 수거를 도와드리지 못하는 약국이 있을 수 있으니

      이 경우 가급적 다른 약국으로 방문하시어 요청하시길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