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4.04.11

이란은 어떻게 핵을 보유하게 되었나요?

이란은 중동에서 대표적인 반미 국가인데 핵무기를 갖고 보유하고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한 나라인데요, 이란은 어떻게 핵을 보유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란의 핵개발 시도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친미 성향의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국왕이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민간용 핵 개발과 원자력 연구에 관심을 보였으며, 1967년에는 미국이 제공한 실험용 원자로가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반미 노선을 걷게 되면서 핵 개발을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이란은 러시아와 중국으로부터 기술 지원을 받아 핵 시설을 건설하고, 원심분리기를 대량 생산하는 등 핵 개발에 속도를 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란의 핵 개발 역사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친미 성향의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국왕이 통치하던 시절, 에너지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과 협력하여 민간용 핵 개발과 원자력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1967년에는 미국이 제공한 실험용 원자로가 가동에 들어갔으며, 이를 계기로 1968년 핵확산금지조약(NPT)에 서명하고 핵무기로 전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였습니다. 이후 1973년에는 원자력 문제를 전담할 이란원자력기구를 신설하고, 서독의 원자력 회사와 함께 테헤란 남쪽 부셰르 단지에 경수로 2기 건설 계약을 맺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란이 핵 개발에 관심을 두고 처음 연구를 시작한 건 1950년대입니다. 당시 이란은 친미 성향의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국왕이 통치하고 있을 때였는데요. 팔레비 국왕은 에너지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아이젠하워 행정부와 협력하며 민간용 핵 개발, 원자력 연구에 관심을 보였습니다.그리고 1967년, 이란에서 처음으로 미국이 제공한 실험용 원자로가 가동에 들어갑니다. 이를 계기로 이란은 이듬해인 1968년 ‘핵확산금지조약(NPT)’에 서명하고, 결코 핵무기로 전용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합니다. 이란 의회는 1970년 이를 비준했습니다. 1990년대 들어와 국제사회에서는 이란이 비밀리에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을 거라는 의혹이 점점 더 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1996년 빌 클린턴 미 행정부는 이란과 거래하는 외국 기업들에 대한 제재를 단행하며 이란 압박에 나섰습니다. 그리고 결국 2002년, 이란 반정부 단체의 폭로로 중부 나탄즈 지역에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인근 아라크 지역에 중수 생산 공장이 있는 것도 밝혀 졌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