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록수는 사시사철 잎이 떨어지지 않고 나름 푸르름을 유지하는데요. 이렇게 될수 있는데는 상록수 잎에 어떤 특징이 있기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상록수는 사시사철 잎이 떨어지지 않고 나름 푸르름을 유지하는데요. 이렇게 될수 있는데는 상록수 잎에 어떤 특징이 있기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록수는 나뭇잎을 이루는 세포액 하나하나의 농도가 짙은데요, 추운 날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어 푸른 잎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거죠. 또 수명을 다한 나뭇잎이 조금씩 나뉘어 떨어지기 때문에 항상 푸른 잎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록수 잎은 잎 표면에
큐티클층이 두껍고
잎 뒷면에 기공이 적습니다.
큐티클층은 물 손실을
방지하고 기공은
이산화탄소 흡수를 조절합니다.
잎 내부에 튼튼한 지지 조직이 있어
겨울 추위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상록수 잎은 겨울에도 일부 광합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잎록소 함량이 높고 잎 표면적이 넓어 겨울철
약한 햇빛에도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상록수 잎은 잎과 줄기에
영양분을 저장합니다.
잎이 떨어지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에 봄에
새 잎을 틔우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상록수는 잎을 모두 한꺼번에 떨어뜨리는 것이
아니라 잎을 조금씩 교체합니다.
잎 교체 과정은 봄부터 가을까지 천천히 이루어지며
이는 겨울에도 푸르름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록수는 사시사철 잎이 떨어지지 않고 푸르름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상록수의 잎이 다른 나무들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상록수의 잎은 두껍고 강한 표피층을 가지고 있어서 수분과 영양분을 잘 보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잎의 색소인 엽록소가 다른 나무들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푸르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록수는 겨울철에도 녹색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이는 겨울철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상록수의 잎이 사시사철 떨어지지 않고 푸르름을 유지하는 이유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