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갸름한오리235
갸름한오리23524.03.10

갑자기 심장이 엄청빨리뛰는데 왜그런건가요?

나이
18
성별
남성
기저질환
기립성저혈압

이제 잘려고 누웠는데 갑자기 머리가어지러워지더니 심장이 급속도로 빨리뛰면서 움직이지도못하겠고 그러다가 움직일려고 발버둥쳐서 다행이 괜찮아지기는했는데 아직도 심장이 빨리뜁니다

원래 제심장박동이 조금천천히뛰던데

오늘 처음으로생긴일입니다

저번엔 그냥 일어나거나할때 몸을 못가눌정도로 어지러워서 잠깐 가만히있으면 괜찮아지던데

저런게심각해져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갑자기 심장 박동수가 빠르고 어지럼증이 동반되었다면ㅇ부정맥 검사가 필요하겠습니다.

    인근 심장내과 진찰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갑작스런 어지러움과 심계항진(심장이 빠르게 뛰는 증상) 증상을 경험하셨군요. 처음 겪는 일이라 당황스럽고 걱정되셨을 것 같습니다.

    누워있다가 갑자기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체위성 현훈이나 기립성 저혈압의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불안, 스트레스, 공황발작 등의 심인성 원인도 고려해야겠죠. 그 외에도 빈혈, 갑상선 기능 이상, 부정맥 등 다양한 내과적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전에도 어지러움이 있었다고 하셨는데, 증상이 반복되거나 심해지는 양상이라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지러움과 심계항진이 동반된 것은 단순 어지러움과 구별되는 위험 증상일 수 있기 때문이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증상의 양상, 지속시간, 동반 증상 등을 자세히 평가하고 신체 진찰과 필요한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혈압, 맥박, 심전도 등의 기본 검사와 함께 24시간 홀터 심전도, 기립경 검사 등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하더라도, 빠른 시일 내에 내과 또는 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의사 선생님과 증상에 대해 자세히 상의하시고, 필요한 검사와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게 좋겠습니다.

    증상 재발 시 무리한 활동은 자제하시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규칙적인 생활습관으로 컨디션 관리에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건강에 유념하시며, 꼭 병원 진료 받으시길 거듭 당부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갑작스럽게 나타난 두근거림은 부정맥으로 인한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니 가까운 내과를 방문해 진료를 받아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심장 박동수의 정상 범위는 분당 60(또는 50)회에서 100회까지로 정의됩니다. 부정맥으로 인해 심장 박동수가 분당 100회 이상으로 빨라지는 경우를 빈맥이라고 합니다.

    증상으로는 심계항진(가슴 두근거림)이 나타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혈압이 떨어지면서 전신 무력감이나 어지럼증, 현기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심장병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한 심실성 부정맥의 경우 돌연사할 수 있습니다.

    빠른 부정맥으로 인해 심장 박동수가 증가하는 경우가 원인입니다. 이러한 부정맥으로는 동빈맥, 심방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심실빈맥, 심실세동 등이 있습니다. 부정맥의 발생 원인으로는 심근의 원발적인 전기적 현상 이상, 심장질환(허혈성 심질환, 심장판막질환, 선천성 심질환, 심근병증), 폐질환(폐색전증, 저산소혈증, 고탄산혈증), 전신 질환(갑상선 기능 항진증, 고열, 빈혈), 약물 중독(항부정맥제), 전해질 대사 이상 등이 있습니다.

    진단은 주로 심전도 소견을 통해 대부분의 빈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정상 심장을 가진 환자이고 발작이 드물 경우 경과 관찰만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주 발생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저혈압, 실신 등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 경우 항부정맥제를 이용한 약물요법이나 전극도자절제술 등이 고려됩니다. 돌연사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는 삽입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 이식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원인 심장질환에 따라 생존률을 향상시키는 약물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